칼럼-현대상선

DAILY NEWS_ 2017.5.8 (월)

17-06-26

본문

 

DAILY NEWS_ 2017.5.8 ()

170508_1.png

 

 

 

1. 말레이·인니 물동량 상승세 잇는다(인천항)

인천항만 현지 방문, IAPH총회서 '스텝카' 수상 예정

인천항만공사가 8일부터 12일까지 동남아 지역에서 포트 마케팅을 벌인다. 7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홍경원 운영본부장을 단장으로 한 포트 세일즈단이 8·9일 이틀간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에서 선사·물류기업 대표를 초청해 인천항 설명회를 개최한다.

 

말레이시아와 인도네시아는 2016년도 인천항 컨테이너 화물 주요 교역국 순위에서 각각 7, 9위를 차지했다. 2015년과 2016년 컨테이너 물동량을 비교하면 각각 10.15%(말레이시아), 9.34%(인도네시아) 증가했다. 이들 국가와 인천항은 현재 7개의 컨테이너 항로가 개설돼 있다.

 

인천항만공사는 이번 인천항 설명회를 통해 올해에도 물동량 상승세를 이어간다는 각오다.

 

인천항 포트 세일즈단은 10~12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열리는 제30 IAPH(International Association of Ports&Harbours, 국제항만협회) 세계총회에 참가해 주요 항만 관계자와의 네트워크를 강화할 계획이다.

 

특히 이번 총회에서는 인천항만공사에서 개발한 '스텝카'가 기술적용분야 상을 받을 예정이다. '스텝카'는 크루즈 승객의 안전한 탑승을 위해 고안된 세계 유일의 항만 전용 '차량 탑재형 승·하선 시설'이다. 신속한 설치와 분리가 가능하다.

IAPH는 항만 관련 재해를 방지하고 저개발국의 항만 건설을 돕기 위해 1955년 발족한 국제민간단체다. 90개국에서 230개 정회원 단체와 100여 개 준회원 단체가 참여하고 있다.

 

IAPH 세계총회는 격년으로 개최되며, 2011년에는 부산에서 제27차 총회가 열렸다. IAPH는 항만 발전을 위한 기술을 공유하고자 2013년부터 시상식을 열고 있다.

 

홍경원 운영본부장은 "IAPH 세계총회에서는 인천항의 인프라와 선진 기술을 널리 알리고, 국내 항만공사들과 공동 홍보관을 운영해 대한민국 항만의 힘을 보여주겠다"고 했다.

(경인일보 2017.05.08.)

 

2. 남항 석탄부두, 2020년까지 동해항 이전 불가능(인천항)

강원 지역 주민·환경단체 반대

대체부두 건설 일정 무기한 지연

해수부, 완공계획 변경도 안해

인천항 석탄부두의 강원도 이전이 지연되며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7일 인천항만공사에 따르면 정부의 항만 배치계획에 따라 오는 2020년까지 폐쇄할 예정인 인천시 중구 남항 석탄부두를 대체할 강원도 동해항 석탄부두 건설일정이 지연되고 있다.

 

인천 남항 석탄부두는 중부권에 안정적인 에너지원을 공급하기 위해 국책사업으로 지난 1980년대 건설됐다.

 

이곳에서는 매년 석탄 운반선이 싣고 온 130 t가량의 유연탄을 하역한 뒤 철로를 통해 내륙 곳곳으로 보내졌다.

 

하지만 정부의 잘못된 도시계획으로 인천 중구 일대 주거·상업지와 석탄부두, 저탄장 등 항만물류시설이 너무 인접해 환경피해에 대한 주민들의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정부가 수립한 지난 2011년 제3차 전국항만기본계획과 지난해 수정계획에서도 인천 남항 석탄부두를 오는 2020년까지 다른 지역으로 옮긴다고 명시돼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이전 대상지인 강원도 동해항 일대 주민과 환경단체의 조성 반대로 계획에 차질을 빚고 있다.

 

전문가들은 사업이 순조롭게 진행돼 올해 연말 건설사업자가 선정돼도 오는 2020년 완공은 불가능하다고 관측하고 있다.

 

인천항만공사 관계자는 “현재 과정을 보면 동해항 석탄부두는 오는 2023년∼2025년쯤 조성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지난해 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계획 수립 때도 해수부에 이 내용을 반영해달라고 수차례 요청했으나 남항 석탄부두의 2020년 이전 계획은 변경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경기신문 2017.05.07.)

 

3. 부산항, 세계적 수준 ‘한국선원종합복지회관’ 건립 추진

세계 3위 환적중심항만인 부산항에 고품격 선원종합복지회관이 건립된다.

 

부산항만공사(BPA)8일 오후 2시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에서 BPA, 전국해상산업노동조합연맹, 한국선원복지고용센터 관계자가 참여한 가운데 ‘한국선원종합복지회관 건립 타당성조사 및 기초조사 연구용역 협약식’을 체결한다고 7일 밝혔다.

 

협약에 따라 한국선원종합복지회관 건립 입지 및 규모 선정, 입주기관 및 업·단체 등 수요조사, 투자 소요비 등 산정 용역을 연말까지 마치고 2018년 기본설계, 2019년 실시설계 및 공사 착공, 2021년 준공을 목표로 사업을 추진하게 된다.

 

현재 부산항 신항, 인천항 등 각 항만에 설치된 선원회관은 많은 국내외 선원들이 이용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규모와 시설이 열악해 단순 휴게기능에 그칠 뿐, 안락하고 편안한 체류형 숙박시설이 전무한 실정이다.

 

홍콩, 싱가포르 등 주요 해운선진국은 자국을 방문하는 국내외 선원을 위한 호텔급 숙박시설, 정신건강센터, 교육훈련시설, 수영장, 볼링장 등 다양한 고급복합시설이 완비되어 있다.

 

이에 세계 3위 환적항만인 부산항에도 이 위상에 맞는 선원복지시설의 건립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우예종 BPA 사장은 “부산항에 세계적 위상에 맞는 한국선원종합복지회관을 건립하게 되면 선원들의 자긍심 고취와 복지증진에 기여하는 계기가 될 뿐만 아니라 부산항을 찾는 외국선원들에게 우리나라와 부산을 체험할 수 있는 시간과 여유를 줄 수 있어 장기적으로는 새로운 관광수요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

(아시아투데이 2017.05.07.)

 

4. 울산신항 배후단지 분양률 미미 ‘애물단지’

3공구 완공됐으나 입주기업 없어...3년전 준공된 1공구도 30%만 입주

3공구 완공됐으나 입주기업 없어

3년전 준공된 1공구도 30%만 입주

경기침체·비싼 임대료 등 주원인

UPA, 이달중 설명회…6~7월 재공고

 

울산항만공사(UPA)가 항만관련 산업 활성화를 위해 야심차게 조성한 울산북신항 항만배후단지 3공구가 최근 준공돼 본격 운영에 들어갔으나 입주기업이 없어 애물단지가 되고 있다. 앞서 3년전 준공한 1공구 역시 현재 3분의 1 가량만 입주해 있는 상태로 수년째 계속되고 있는 지역 경기침체 여파에 높은 임대료 등이 원인으로 UPA측도 뾰족한 해법이 없어 골머리를 앓고 있다.

 

7일 찾은 울산 남구 황성동 울산북신항 용연부두 및 항만배후단지 3공구. 가뜩이나 넓은 배후단지는 입주기업이 없어 더욱 휑해 보였다. 4개 구역에 전체 면적이 168440㎡에 이르는 배후단지 3공구는 지난달 26일 용연부두와 함께 개장식을 갖고 정식으로 문을 열었다. 하지만 이 4개 구역은 아직 주인을 찾지 못한 채 텅비어 있는 상태다. UPA는 지난해 연말 입주기업을 모집했으나 신청기업이 전무했다. 이 곳 뿐 아니라 인접해 있는 1공구 역시 준공 후 2 10개월 가량 지났으나 현재 3분의 1 가량만 입주해 있는 실정이다. 2공구는 아직 착공조차 못했다.

 

170508_2.jpg

 

 

UPA에 따르면 울산신항 항만배후단지는 영남권 수출입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약 1245억원을 투입, 오는 2018년까지 3개 공구로 나눠 단계적으로 매립해 총 679391㎡ 규모로 조성 중이다. 1공구(전체면적 242000, 임대부지 164966)가 지난 2014 7월 준공된데 이어 3공구가 지난달 26일 준공했다. 수심 14m의 바다를 매립해 조성한 배후단지는 항만의 부가가치와 항만산업 활성화, 항만 이용자의 편익을 증진하기 위해 항만법에 따라 지정·개발하는 토지로 복합물류의 제조유통이 이뤄지는 곳으로, 새로운 물동량을 창출하는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됐다.

 

하지만 3공구는 물론, 1공구에도 지난 2014 ()울산국제물류센터와 ()엠엔엘코리아, 2015년에 ()데카텍 등 3개 업체가 입주한 이후 신규 입주업체 소식이 없는 실정이다. 배후단지 임대가 짧게는 20년에서 길게는 50년간 장기계약으로 이뤄지는 데 계속되고 있는 경기침체와 불확실성 등으로 기업체들이 입주에 난색을 표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비싼 임대료도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광양항 등 국비로 조성된 배후단지에 비해 임대료가 2~3배 가량 높은데다 조성당시 공시지가에 비해 현재의 공시지가 오르면서 임대료도 덩달아 올랐다.

 

이에 따라 1공구 남은 부지에 대한 입주업체 재공고는 올해까지 6차에 걸쳐 진행됐으나 입주기업이 없어 무산됐다. 이와함께 일부 입주업체들도 규제완화 등을 요구하며 불만을 토로하고 있다.

 

UPA 관계자는 “기업체 입주를 위해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마케팅을 펼치고 있으나 경기침체 등으로 쉽지 않은 실정”이라며 “배후단지 관리지침 제정을 중심으로 제도개선과 규제완화, 입주기업 유인정책 발굴 등을 적극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UPA는 이달 중으로 사전 희망업체 수요 발굴과 사업설명회를 열고 오는 6월말이나 7월초께 입주자 재공고를 한다는 계획이다.

(경상일보 2017.05.07.)

 

5. 양산 ICD(내륙컨테이너기지) 되살아나나?

 

 

 

 

 

170508_3.jpg

 

 

 

컨테이너 물동량 감소로 기능 상실마저 우려됐던 경남 양산 내륙컨테이너기지(ICD)가 조금씩 되살아나고 있다. 해마다 큰 폭으로 감소했던 물동량이 2015년 바닥을 친 뒤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돌아섰기 때문이다. 증가한 물동량의 대부분은 일반화물 물량이지만, 컨테이너 물동량 역시 늘어나 활성화도 기대되고 있다.

7일 양산ICD에 따르면 지난해 ICD에서 처리한 컨테이너(CY) 물동량은 16TEU로 집계됐다. 전년도 물동량 13 1000TEU에 비해 22.1% 증가했다. 올해 1분기 물동량 역시 3 9753TEU, 전년도 같은 기간 3 5793TEU에 비해 11.1%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컨테이너 물동량은 2005 133 1000TEU로 정점을 찍은 후 2014 13 9000TEU로 줄어드는 등 2015년까지 10년째 감소했다. 컨테이너 화물장치장인 CFS 물동량도 늘어났다. 지난해 CFS 물동량은 51 7000R/T(운임톤:부피와 무게 중 선사가 유리한 운임을 선택하는 용량), 전년도 40 8000R/T보다 26.7% 늘었다. 올해 1분기 물동량도 13 2745R/T, 전년도 같은 기간 11 4955R/T보다 15.5% 증가했다.

 

10년째 물동량 감소 위기

지난해 16TEU로 증가세

 

일반화물은 2007년 첫 취급한 이후 11년째 증가하고 있다. 지난해 일반화물 물동량은 201 2000t으로 전년도 162 1000t보다 24.1% 늘었다. 올해 1분기 역시 36 7998t으로 전년도 같은 기간 33 2808t에 비해 10.6% 늘어나는 등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다.

 

양산ICD의 물동량이 지난해부터 증가세로 돌아선 것은 ICD 입주업체들이 컨테이너 물동량이 감소하자, 이를 만회하기 위해 수입 화물을 보관하거나 택배 등으로 눈을 돌리면서 일반화물이 큰 폭으로 늘어난 것이 ICD 전체 물동량 증가를 이끌고 있다.

 

여기에 부산 신항의 물동량이 자리를 잡으면서 양산ICD와의 역할 분담도 어느 정도 정해진 데다 지난해 우리나라 수출 둔화로 인한 컨테이너 야적량 증가도 한 원인으로 보인다.

 

양산ICD 관계자는 "2015 ICD 물동량이 바닥을 친 이후 2016년부터 증가하고 있다" "올해 1분기 물동량 역시 지난해에 비해 10%이상 늘어나는 등 당분간 물동량 증가세는 계속 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부산일보 2017.05.07.)

 

6. "크루즈시장 국적선사 주도로 바꿔야"

KMI 사드보복 타개책 보고서

- "환동해 노선 등 시장 다변화

- 해외선사 국내 모항 유도하고

- 항공사 연계 관광상품 개발을"

 

최근 5년간 연평균 71%의 성장세를 보였던 국내 크루즈시장이 사드 배치에 따른 중국의 한국단체관광 금지조치 이후 큰 타격을 입고 있다. 실제 중국이 보복조치를 단행한 지난 3 15일 이후 제주 부산 인천 등에 입항 예정이던 크루즈선 971회 중 39.3% 382회가 취소됐다. 올해 목표치 대비 크루즈선의 입항은 제주항 62.4%, 부산항 56.7%, 인천항 53.5% 수준이며, 크루즈 관광객 규모 또한 올해 목표치에 비해 제주항 66.4%, 부산항 46.4%, 인천항 38.5%에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해 방한한 중국인 크루즈 관광객은 1516500명으로 전년 대비 129.1% 증가했다. 크루즈 관광객을 국적별로 보면 중국이 92%를 차지, 중국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국내 크루즈시장은 그동안 중국과 일본을 연계하는 중간 기착지 역할을 강화하기 위한 기반시설 확충과 홍보를 정책 우선 순위로 삼고 쇼핑관광 중심의 기항지 프로그램으로 운영됐다. 이로 인해 국내 크루즈시장의 지출구조는 쇼핑비용이 90% 이상이며, 이 중 중국인 관광객의 경우 그 비중이 99%에 육박했다. 하지만 크루즈관광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면세점 매출 외에 제한적이어서 그동안 관광업계와 학계는 지금과 같은 중국 일변도의 관광객 유치방식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꾸준히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이는 크게 노력하지 않아도 찾아오는 크루즈시장의 양적 성장에 가려 크게 부각되지 못했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7일 발행한 동향분석 보고서를 통해 "국내 크루즈시장의 체질개선이 시급하다" "이제부터라도 국내 업체가 주도하는 크루즈시장 확대를 검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중국 모항지 관광객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일 뿐 시장 다변화를 위한 능동적인 노력이 부족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영토 분쟁으로 중국에 의해 빨리 매를 맞은 일본의 예를 들었다. 일본은 방일 크루즈 중국인 관광객이 줄자 개별관광객을 타깃으로 여행박람회 개최, 온라인 마케팅 실시, 복수비자 발급 허용, 중국 주요도시와 일본지방을 잇는 신규 항공노선 증설 등 다양한 전략을 추진했다. 또 자국 크루즈선사를 해외에 홍보하고 국제 크루즈선사와 크루즈항만을 공동 개발했다. 이로 인해 2013 7.7% 감소했던 방일 중국인 관광객은 2014 83.2% 늘어 단기간에 회복했다.

 

KMI는 국내 크루즈시장 발전의 해결책으로 우리나라를 모항으로 하는 국적 크루즈선사를 육성해 일본·러시아와 연계한 환동해 및 북극권 노선 구축 등 시장 다변화를 제안했다. 국제 크루즈선사와 크루즈항만을 공동 개발·운영해 해외 크루즈선사의 국내 모항을 유도하는 방안도 하나의 방법이라고 적고 있다.

 

한류관광의 강점을 활용해 동남아와 대만 등을 대상으로 크루즈선 출발 전날 부산에 비행기로 도착해 시내 관광을 겸하는 상품(Fly& Cruise)도 만들어 국내외 항공사와 국제 크루즈선사를 연계한 상품개발과 함께 마케팅 강화를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역별 관광자원을 활용한 기항지 관광콘텐츠 강화도 꼽았다. 이를 위해 지역별 관광공사가 여행상품 기획자와 함께 지역의 문화·역사 관련 전문가, 박물관·전시관 해설자, 지역상인 등과 연계해 지역관광 콘텐츠를 제작, 판매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국제신문 2017.05.07.)

 

7. 대한해운, 가스공사와 4400 LNG 장기수송 계약

이달 중 삼성 LNG 2척 발주

대한해운이 한국가스공사와 액화천연가스(LNG) 장기 내항수송 계약을 체결했다.

 

대한해운은 삼성중공업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가스공사 수송 입찰에 참여해 지난달 13일 낙찰사로 선정됐다.

 

7500CBM()급 소형 LNG 2척을 투입해 2019년부터 2039년까지 20년간 경남 통영에서 제주도 애월로 연간 56t, 1120t LNG를 수송하게 된다.

 

수송 개시는 1호선이 2019 531, 2호선이 2019 1231일이다.

 

선박들은 한국형 LNG화물창인 KC-1이 장착되며, 2호선은 LNG 급유선 활용을 목적으로 LNG 벙커링 설비도 탑재될 예정이다.

 

대한해운은 지난달 28일 체결된 장기운송계약을 통해 4394억원의 신규 매출을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 관계자는 "가스공사와 장기계약을 체결한 만큼 이달 안으로 삼성중공업과 LNG 2척에 대한 신조 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지난달 수송입찰엔 대한해운을 비롯해 에이치라인해운 현대LNG해운 SK해운 폴라리스쉬핑 KSS해운 광양선박이 참여했으며, 삼성중공업과 짝을 맺은 대한해운 현대LNG해운 에이치라인해운이 1~3위를 나란히 차지했다.

 

SK해운 폴라리스쉬핑 KSS해운은 현대미포조선과 컨소시엄을 구성했고 광양선박은 조선소를 구하지 못해 적격심사 통과 후 최종 입찰을 포기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05.08.)

 

8. FMC, 일본 3사 정기선 합병 승인 거부

미국 연방해사위원회(FMC)는 승인 권한이 없다면서 일본 대형 3사인 NYK, K Line, Mitsui OSK Lines 간의 합병에 대해 거부했다. 이들 일본 선주들은 공동 컨테이너 서비스 구축에 대한 승인을 얻기 위해 미국 해운 규제 당국에 3자 협약 승인을 신청했었다.

 

미 해운법에서는 FMC에 합병 검토 및 승인에 관한 권한을 부여하고 있지 않다. FMC는 심사숙고 이후 3자 협약 당사자들이 궁극적으로 새로운 사업 실체를 구축했다고 보며, 이번 조치는 FMC의 검토에서 제외된 협약의 유형이라고 확인했다.

 

새로운 합병 실체를 형성하는 협약에 대한 승인은 미 법무부에서 받아야 한다.

 

NYK, MOLK Line 2018년부터 J3라고 불리는 조치로 각자의 컨테이너 해운 사업을 합병할 계획이며, 이미 올해 4월 초부터 시작한 Hapag-Lloyd, UASC Yang Ming 등도 함께 하고 있는 THE Alliance의 멤버로서 협력하고 있는 상태다.

(쉬핑데일리 2017.05.04.)

 

9. US Port Fights for $400 Million Dredging Project

The Port of Coos Bays proposed US$400 million channel modification project is gaining traction because of the increasing size of ships.

 

Oregon's seaport in the US, which processes 1.5 million tons of cargo every year, aims to become more competitive through dredging its channel to eight feet along more than eight miles of the Columbia River.

 

A 1,400-foot-long by 1,100-foot-wide basin would also be created at the upper end of the proposed modification for vessel manoeuvres.

 

The channel is currently 37 feet deep and 300 feet wide and would increase to 45 feet deep by 450 feet wide after the projects completion, which port officials expect to have taken place by 2022.

 

In an interview with the Register Guard, Mike Dunning, Director of Maritime Operations of Port of Coos Bay, said it was important to attract larger ships due to the increase in cargo throughput.

 

He said: We want to build a robust shipping port in Coos Bay but ships are getting bigger.

 

A report by the port recently highlighted that its rail network was earning less revenue than planned due to lower volume and less cargo, resulting in it being unable to reach an estimated $286,000 additional surplus for the year to date.

 

Dunning added: To maintain that rail and maintain all the bridges and structures we have on that system, we have to get more than 7,500 cars.

 

Thats the reality, and we do that by increasing our shipping.

 

It was recently found that US port finances have remained stable amid destabilising proposals.

(Port technology 2017.05.05.)

 

10. DP World Nears Billion-Dollar India Investment

DP World has agreed to develop Indian port projects including at Sagarmala and Bharatmala on signing a Memorandum of Understanding with Indian quasi-sovereign wealth fund, National Investment and Infrastructure Fund.

 

DP World is pursuing port infrastructure operations valued at US$1.3 billion in the country.

 

A year in the making, the agreement came as the result of a visit by Crown Prince of Abu Dhabi and DP World Group Chairman and CEO Sultan Ahmed bin Sulayem to India in February 2016.

 

Port projects they discussed included the Sagarmala project, creation of the Delhi Mumbai Industrial Corridor, river transportation and cold chain storage, investing in port-led special economic zones, free trade zones, ICDs and cruise terminals.

 

Six megaports are planned in Sagarmala, according to the Indian Ministry of Shipping.

 

DP World plans to provide logistics and warehousing solutions to help spur India's growing export and import trade, particularly in supply chains, warehouseing and cold storage.

 

DP World Group Chairman and CEO, Sultan Ahmed Bin Sulayem, said: We have been a part of India's growth story for nearly two decades now and we are delighted to further strengthen this relationship with the National Investment and Infrastructure Fund.

 

The National Investment and Infrastructure Fund plays a crucial role in financing India's infrastructure and we welcome their approach to encouraging development in the sector.

 

The agreement is a direct result of the visit last year of H.H Sheikh Mohammed Bin Zayed and both our organisations will work together in backing suitable projects. This will further develop Prime Minister Modi's Make in India and Invest India campaigns by encouraging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and funding for landmark projects like Sagarmala and Bharatmala.

 

One of the key priorities of the Indian Government is preventing the loss of agricultural produce. This can be managed through adequate marine and warehousing infrastructureincluding cold storage as well as development of inland waterways, reducing logistics costs at the same time."

(Port technology 2017.05.05.)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