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현대상선

DAILY NEWS_ 2018.1.15 (월)

18-01-22

본문

 

DAILY NEWS_ 2018.1.15 ()

 

1. 인천항 카페리 마케팅 협의회

인천항만공사는 12일 인천 중구 인천항 제1국제여객터미널에서 한국관광공사와 인천항시설관리센터인천항 카페리선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인천항 카페리 마케팅 협의회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에선 내달 개최 예정인 평창 동계올림픽을 겨냥해 중국 응원단 유치 방안한중 카페리 운항 계획 등을 논의했다.

(인천일보 2018.01.15.)

 

2. 부산항 2025년까지 3000TEU시대 연다

BPA, 미래전략과제 발표

물류·해양관광 등 3대 허브화

일자리 넘치는 메가허브 육성

 

부산항만공사(BPA) 2025년 이전 컨테이너 물동량 3000TEU 시대를 향한 ‘부산항·BPA 미래전략과제’를 수립했다고 14일 밝혔다.

 

부산항은 지난해 한진해운 사태 등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컨테이너 물동량 2000TEU를 달성하는 등 외형적으로는 메가포트로 자리매김 했다하지만 세계 선진항만과 비교할 때 부산항의 위상과 낮은 부가가치 수준으로 양적인 성장과 더불어 질적인 성장을 위한 절실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끊임없이 제기됐다이에 따라 BPA는 창립 14주년을 맞아 일자리가 넘치고 관련 기업이 살찌는 3000 TEU시대를 향한 ‘부산항·BPA 미래전략과제’를 발표했다주요내용은 부산항의 외형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과 사회적 가치 제고를 위해 노력해 부산항을 통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또 부산항을 글로벌 물류 허브와 해양관광비즈니스 허브그리고 항만관련산업서비스 허브 등 3대 허브화 전략을 통해 화물 사람 산업 서비스 분야에서 새로운 가치를 창출한다는 전략이다이를 통해 지속적인 부가가치와 일자리가 넘치는 메가허브포트로 육성하고 항만의 사회적 가치를 선도하는 리더십을 확립해 부산항의 지속적인 성장을 촉진해 나간다는 것이다이와함께 사업다각화와 핵심역량 확보(전문성 강화), 일류화 프로그램을 통해 조직을 정비해 고객과 함께 세계로 뻗어가는 글로벌 종합항만 전문기업으로의 발전을 도모하기로 했다.

 

우예종 사장은 “2025년 이전에 물동량 3000 TEU 달성과 더불어 미래성장 주력산업으로 항만관련산업을 집중 육성해 좋은 일자리가 넘쳐나고 부가가치가 지속적으로 창출되는 부산항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국제신문 2018.01.14.)

 

3. 중국~러시아~부산항 '북방 실크로드열린다

한국중국러시아를 잇는 '신북방 실크로드'가 가시화된다부산경제진흥원은 "수산물 집산지인 중국 훈춘에서 러시아 자루비노항을 통해 부산항으로 명태 등을 운반하는 시범 사업이 3월께 진행될 예정이다" 14일 밝혔다그동안 이같은 시도는 많았지만 일회성 이벤트로 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고 시범 운영 같은 구체적 성과가 나온 것은 처음이다.

3월께 시범 운영 '구체화'

육로보다 물류비 40% 절감

 

신북방 실크로드는 중국의 지린성헤이룽장성 등 육상으로 이동한 뒤 다롄항에서 물품을 선적하던 것을 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자루비노항에서 선적부산항으로 끌어들인다는 구상중국 하얼빈~쑤이펀허~러시아 블라디보스토크항~부산항중국 훈춘~자루비노항~부산항에 이르는 두 가지 루트가 신북방 실크로드의 핵심이다.

 

중국 하얼빈과 훈춘은 내륙 지역이어서 다롄항까지 육로를 이용할 경우 거리가 약 1000㎞에 달한다반면 신북방 실크로드를 이용할 경우 운송 거리는 220㎞에 불과하다기존보다 40% 이상 물류비를 절약할 수 있다부산시와 부산경제진흥원은 러시아중국 측과 함께 철도의 크기세관 등 실무적인 문제들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김병추 부산경제진흥원장은 "몽골일본 등도 신북방 실크로드에 포함할 계획을 세우고 사카이미나토울란바토르와 접촉 중인데 이들 역시 긍정적인 반응이다""부산이 주도권을 쥐고 신북방 실크로드를 안착시키면 부산항의 위상도 더 높아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부산일보 2018.01.14.)

 

4. "줄어든 컨테이너 물동량 늘려라"...광양항 '자립항만달성 총력전

여수광양항만 "2년내 310TEU 달성"

올해 인센티브 예산 두배 늘려 120억원

‘자립형 항만’을 목표로 한 여수광양항만공사가 오는 2020년까지 컨테이너 물동량 310TEU 달성을 위해 다양한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한다올해 인센티브 예산은 지난해의 두 배인 120억원을 책정했다.

 

‘자립형 항만’은 보통 300TEU 이상의 처리능력을 가진 항만으로 광양항이 세계적 항만으로 발돋움할 수 있는 요건을 갖추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지난 2016년 발생한 한진해운 사태와 지난해 글로벌 얼라이언스 선대 개편 등을 이유로 감소한 현지 물동량을 올해 새로운 인센티브 제도를 시행해 총력전을 펼친다는 각오다.

 

14일 여수광양항만공사에 따르면 우선 항만공사는 올해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계획을 250TEU, 내년에는 280TEU 달성을 목표로 맞춤형 인센티브제도 운영항만 연계성 확대원양항로 개설지역별 타깃 마케팅 전개 등 4대 마케팅 전략을 펼쳐 물동량 유치에 힘을 쏟기로 했다이를 위해 그동안 면제해 온 접안료·정박료 등 시설사용료의 30%를 징수해 선사나 대형 화주 등을 대상으로 환적화물 유치에 따른 인센티브 제도를 대폭 강화하기로 했다지난해 광양항의 인센티브 예산은 53억원에서 올해 120억원 규모로 대폭 늘어날 전망이다.

 

또 인트라아시아 선사를 대상으로 기항하는 원양항로 운항 선박도 늘리고 한·중·일 노선 확대를 통해 환적 물동량도 늘려 나간다는 계획이다동시에 현재 주당 1항차에 머물고 있는 유럽노선도 2항차로 늘리고 수도권과 충청권 화주 등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마케팅을 펼쳐 최근 포장공사가 완료된 자동차 전용부두의 환적물량도 연간130만대 이상 처리한다는 계획이다.

 

항만공사는 지난해 주당 85항차에 그쳤던 기항선박이 92항차로 늘어나면서 컨테이너 물동량도 지난해 222TEU에서 올해 목표치인 250TEU 처리도 무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이와 함께 항만공사는 작년에 컨테이너 물량과 광양제철 벌크석유화학 유류제품일반화물 등을 포함해 잠정적으로 총 물동량 29,000만톤을 처리했지만 올해는 3억톤을 목표로 정했다.

 

선정덕 공사 글로벌마케팅팀장은 “오는 2020년까지 310TEU를 달성해 자립항만으로의 위상을 회복시켜 나가겠다”고 말했다.

(서울경제 2018.01.14.)

 

5. 자국화주에 사랑받는 일본해운 vs 외면받는 한국해운

“적취율 확대 등 해운업 발전위해 협의체 구성 시급”

한국 해운산업이 한진해운 파산인력 축소신조 발주 중단 등으로 위기에 직면해 있다현 상황에서 100TEU 이상의 선대 확보가 이뤄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지만 이마저도 실현가능성은 불투명해 보인다이러한 가운데 일본을 타산지석으로 삼아 국내 해운업 발전을 이뤄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원양항로 자국화물 적취율 13%

 

국적선사의 화물 적취율을 끌어올리기 위한 협의체 구성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KDB산업기술리서치센터 김대진 연구위원은 최근 ‘한일 해운산업 비교를 통한 국내 해운산업 발전방안’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국내 화주들이 국적선사를 이용하지 않는 근본적인 원인 분석이 선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현재 일본 해운사 NYK 케이라인 MOL 등의 자국화물 적취율은 62%에 달한다특히 수입 의존도가 높은 철광석·석탄·원유 등의 화물 적취율은 90%에 육박한다해운시황 부진과 상관없이 장기계약을 통한 안정적인 수입기반을 갖추고 있다.

 

반면 한국 선사들의 자국화물 적취율은 원양 컨테이너의 경우 13%에 불과하다근해항로를 포함해도 40%에 못 미치고 있는 실정이다벌크 및 탱크 화물을 포함한 외항 화물에 대한 국적선 자국화물 적취율은 2009 46.1%에 불과하며이후 통계는 선주협회와 정부가 공식적으로 발표하지 않고 있다.

 

김 연구원은 국적선사 파산과 일본 벌크선사의 국내 대량화물 운송계약 사례 등을 고려할 때 국적선사 적취율이 40~50%대에 불과할 것으로 추정했다따라서 김 연구원은 해외 선사 대비 국적선사의 운송비 수준과 화주들이 원하는 항로 및 항차 제공 여부 등 정확한 원인분석과 정확한 통계 집계에 따른 중장기적인 화물 적취율 확대 방안 등이 선행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그는 정부 부처(산업통상자원부·중소벤처기업부·해양수산부·감사원 등)를 망라하는 협의체 구성이 대통령 직속 혹은 총리실 산하에 만들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이 협의체를 통해 일본과 같은 대량화물(원유 석탄 철광석 등)의 국적 선사 운송을 위해 화물우선적취권제도 부활 및 자국선사 이용시 세제 혜택이나 인센티브 제공 등의 방안이 검토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한국해운운임하락시 수익성 급격히 악화”

 

한국 해운업의 포트폴리오 다변화도 시급해 보인다현재 한국과 일본의 선대 구조는 크게 다르다컨테이너선과 탱크선 보유 비중이 높은 우리나라와 달리 일본은 세계에서 벌크선대를 가장 많이 보유한 국가로 벌크선 비중이 높다.

 

반면 탱크선 비중은 한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탱크선 비중이 낮은 이유는 일본 정유기업 구조조정에 따른 기업수 감소 및 시장규모 축소글로벌 석유화학기업 부재 등에 기인하기 때문이다일본 해운시장은 치열한 경쟁보다는 새로운 틈새시장 확대를 통해 부진에 대응하고 있다특정 선종에 치우쳐 있지 않다보니 운임 하락에도 불구하고 안정적인 해운사업을 영위하고 있다.

 

NYK는 물류 및 항공운송부동산 등으로 사업을 다변화하고 있으며, MOL은 벌크선 비중(48%)이 컨테이너(40%)보다 높고 페리선 등으로 사업영역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케이라인 역시 해양플랜트 지원과 중량물 운송 사업 확대 등으로 시장을 확대하고 있다반면 현대상선은 컨테이너 비중 81% 팬오션은 벌크 비중 65% 등 특정선종에 대한 쏠림 현상이 심한 편이다따라서 컨테이너선 및 벌크선 운임이 하락할 경우 수익성이 급격히 악화될 수 밖에 없는 취약한 사업구조를 갖추고 있다.

 

김 연구원은 국내 해운산업 발전방안으로 국내 해운업 영역의 재설정이 필요하다고 밝혔다국내 해운업이 일본을 벤치마킹해 해운과 조선선용품업체와 화주 등을 포함한 광의의 해운업으로 범위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설명이다.

 

또 그는 화주·해운·조선의 선순환 구조를 구축하기 위해 정부가 주도적으로 연계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화주의 대량화물 운송을 국적사가 맡도록 유도하고,대량화주인 발전사와 석유공사 등 정부의 공공기관 평가시 가산점을 부여하는 등 화주의 참여를 이끌어내야 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김 연구원은 해운사는 국내 조선소 발주를 유도하고조선소도 국적 해운사 선박건조시 국내 철강사의 제품을 일정비율을 사용하도록 화주·해운·조선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1.15.)

 

6. 해수부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타당성조사에 1억 지원

223일까지 접수

해양수산부가 우리 기업의 해양플랜트 서비스분야 해외진출을 적극 지원하기 위해 115일부터 223일까지 ‘2018년도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타당성조사 지원 사업 공모’를 실시한다.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은 해양플랜트 건조 이후 단계인 운송설치운영 및 유지관리해체 등과 관련된 서비스산업이다해양플랜트산업 전체 부가가치의 50% 이상이 이 분야에서 창출되지만 아직 우리나라 기업들의 진출이 미흡한 실정이다.

 

해수부는 관련 기업들이 해외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에 진출하는 것을 돕기 위해 지난 2015년부터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타당성조사 지원 사업을 운영해 왔다지난3년간 총 12개 사업을 지원했으며그 결과 지난해에 2개 기업이 말레이시아호주 시장에 각각 진출하며 총 156억원 규모의 해외 해양플랜트 서비스 사업을 수주하는 성과를 올렸다.

 

해수부는 이 사업에 총 3억원의 예산을 편성지원 대상 사업 당 최대 1억원의 범위에서 타당성조사 비용의 30~70%를 보조할 계획이다지원 대상 사업은 국내 기업이 사업 추진을 희망하거나 계획 중인 해양플랜트 서비스 분야 유망프로젝트 발굴 및 수주해외시장 진출 전략 수립 등이다응모한 사업을 대상으로 서류심사와 평가위원회의 사업제안서 심사를 거쳐 최종 대상 사업을 선정할 예정이다.

 

자세한 사업 내용과 신청 방법은 해양수산부 누리집(www.mof.go.kr‘공지사항’ 란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관심 있는 업체들은 오는 223일까지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과로 신청서류를 구비해 제출하면 된다.

 

송명달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과장은 “고부가가치 산업인 해양플랜트 서비스 산업을 지원해 우리 해양플랜트 산업의 신성장동력을 마련하는 한편국내 기업들의 해외진출 기반을 마련하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1.15.)

 

7. 높은 수요로 선박해체가 급등

노후 선박 중 하나를 처분하고자 하는 선주라면최근 기분이 좋을 수 있다쉽브로커들이 해체노선소와 현금 바이어들이 제안하는 가격의 신고점을 보고하고 있기 때문이다시장 반등으로 노후 벌커를 처분하려는 선주들의 점점 줄면서폐선시장이 반응하고 있다.

 

최근 주간 보고서에서 쉽브로커 Clarkson Platou Hellas는 “지난해 말 긍정적인 모멘텀을 2018년을 시작했다특히 드라이 LDT 유닛 등 신규 판매가 매번 더 큰 가치 상승폭을 보였다. LDT 495달러의 높은 가격이 이번 주 케이프사이즈 벌커 부문에서 확인됐다"고 보고했다.

 

가격이 이처럼 급등한 배경은 드라이 및 컨테이너 용선 시장이 지난해 1분기 동안 부진한 수준에서 급등하면서 확인된 선박 부족 때문이다전 세계 철강 시장과 철광석 등 펀더멘털이 2017년 봄 이후 최고 수준을 보이면서시장은 최근 확인된 중 가장 견조한 상황 중 하나를 유지하는 듯 하다.

 

가격 수준이 2017년부터 견인된 가운데최근 매각은 선주들에게 잘못된 시그널을 보낸 것으로 보인다업계의 많은 이들이 현재까지 인도 아대륙 국내 운임이 큰 폭의 가격 조정을 정당화할 수 있을 정도로 급등하지 않으면서 당황스러운 상태이기 때문이다지금 문제는 2018년 첫째 주가 운임 서프라이즈를 보낸 이후 선주들로 하여금 선박 재활용 연안을 고려하게 할 것인지 여부이다.

 

GMS는 “2018년 첫째주는 매우 이례적이고 솔직히 당황스러운 매매들이 이루어졌다현금 바이어들의 투기가 과도하게 이루어지면서 또 다른 강세 분기가 나타날 전망"이라고 밝혔다.

 

드라이 벌크 운임이 여전히 견실한 가운데계속된 벌커 부족이 선박에 대한 과열된 파키스탄 시장을 촉진했다그 결과 한 투기적인 현금 바이어가 이번 주에 케이프사이즈 벌커 한척 LDT  495달러 가격을 제시했다.

 

결국 오른 것은 내려간다한편일부 선주들의 관심이 활기찬 상태이다가격이 LDT 500달러를 넘어섰기 때문이다이에 따라 혜선 후보군 수가 2018년 초 증가할 수 있다파키스탄이 탱커 부문에서 여전히 두각을 보이고 있는 가운데우리는 웻 선박 선주들이 운임에 대한 기대치를 줄이도록 촉구할 것이다이들 선박에 대한 유일한 옵션은 인도 또는 더 먼 방글라데시이다특히 대형 LDT 웻 산박들의 경우 그렇다.

 

전반적으로 올해는 긍정적인 기조로 시작했고우세한 낙관론은 적어도 중국 춘절까지 지속될 전망이다.

Allied Shipbroking는 “폐선 가격이 크리스마스 연휴 동안 견조세를 유지한 가운데선박 활동은 상당 수 선박들이 폐선소에 보내지면서 여전히 견조세를 유지했다인도 아대륙은 가격을 유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며일각에서는 추가 상승에 대한 믿음을 보이고 있다이는 현지 철강판 가격과 환율 기준에서 개선된 펀더멘털을 감안하면서부터"라고 보고했다.

(쉬핑데일리 2018.01.12.)

 

8. 지난주 상하이발 컨운임 대다수 상승세

지난주 상하이발 스팟 컨테이너운임이 기간항로를 비롯해 대다수의 항로에서 상승세를 보였다.

 

상하이해운거래소가 1 12일 기준 공표한 각항로별 운임현황에 따르면 유럽행은 전주대비 TEU 9달러(1.0%) 상승한 897달러지중해행은 21달러(2.8%) 오른 759달러를 기록했다.

 

미주행은 큰 폭으로 올랐다미국서해안행은 FEU 49달러(3.3%) 오르면서 1,500달러대를 회복했고동해안행은 183달러(7.5%) 급등하면서 2,600달러대를 회복했다.

이밖에 호주/뉴질랜드행은 14.9%, 동서아프리카행도 14.5% 등이 상승한 반면 남미행은 13.9%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따라 SCFI종합지수는 2.8% 오른 839.72포인트를 기록했다.

(쉬핑데일리 2018.01.15.)

 

9. PSA Partners to Launch Maritime Engineering Program

PSA Singapore (PSA) and The Institution of Engineers (IES) have launched a certification program to further strengthen the pipeline for maritime talent in the Asia Pacific region.

 

The collaboration will allow port engineers with the requisite experience and training to be awarded a globally recognized certification of engineering professionalism; The Chartered Engineer certification.

 

In order to become certified, engineers must pass a rigorous assessment process that looks at their experience and skills in managing complex engineering systems, as well as their commitment to developing the skills of others in the engineering profession

 

The Chartered Engineer certification programme was launched by IES in 2013, and offers engineering professionals an external validation of their experience, expertise and technical competence across various sectors.

 

PSA, a subsidiary of PSA International, operates the worlds largest container transshipment hub in Singapore, linking shippers to 600 ports across the world.

 

PSA has announced that it is unveiling technologies never before seen at container terminals in Singapore, including amphibious drones, automated quay cranes, exoskeletons for port staff, and robotic arms for related container activities

 

The Institution of Engineers Singapore (IES) is Singapores premier engineering institution and provides feedback on professional engineering matters for the Government of Singapore.

 

In order to promote their goal to meet the needs of the intelligent port of the future, PSA and IES have said they will also collaborate to identify relevant skills development programmes for engineers to enhance their engineering capabilities.

 

Singapore-based tertiary school Republic Polytechnic (RP) and port operator PSA Corporation (PSA) have launched the RP-PSA Experiential Laboratory, a high tech simulated environment where students can develop their skills using real-life port management and operations scenarios

 

Graduation certificates were presented to the pioneer batch of 13 engineers by Ong Kim Pong, Regional CEO Southeast Asia, PSA International, Yeoh Lean Weng, Deputy President, IES.

 

The engineers came from the Maritime and Port Authority of Singapore, PSA, Jurong Port, Portek International and National University of Singapore.

 

Ong Kim Pong, Regional CEO Southeast Asia, PSA International, said, PSA is delighted to have found in IES a like-minded partner that believes in the professionalization and development of engineers.

 

This programme will give engineers from PSA and the industry an opportunity to receive internationally recognized validation of their experience, and a respected mark of professional competency.

 

This collaboration will elevate the prestige of engineering careers in the port industry, attracting and retaining the talent needed for the future.

 

Dr Yeoh Lean Weng, Deputy President, IES, said, IES is pleased to launch the Chartered Engineer Certification Programme for the port and marine sector  one of the key contributors to Singapores economic growth.

 

The programmes stringent peer review system and international benchmarking will help to build a strong core of competent engineers to support the development of the Tuas mega port and strengthen Singapores position as a leading global maritime hub.

(Port technology 2018.01.12.)

 

10. British Ports Association Praises UKs 25-Year Green Plan

The British Ports Association has welcomed the UK Prime Ministers newly published 25-year plan for the environment, which confirms that the country's government will make greater use of natural capital in its approach to environmental policy.

 

Government officials define natural capital as elements of nature that directly or indirectly produce value to people, including ecosystems, species, freshwater, land, minerals, the air and oceans, as well as natural processes and functions.

 

The Prime Minister also announced that the UK government will be consulting on a new independent environmental regulator, launching their air quality strategy this year, finalising the final tranche of Marine Conservation Zones, and taking the opportunity afforded by Brexit to take back control of UK waters and put in place a more sustainable fisheries policy.

 

Mark Simmonds, BPA Policy Manager, said: We welcome the Prime Ministers rejection of the false choice between enhancing our environment and promoting economic growth.

 

The Government must now redouble efforts to ensure that unreasonable costs are not added to plan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is means ensuring that Government and its agencies have the capacity to process license applications in a timely manner and that marine environmental designations are properly resourced and backed up by robust evidence.

 

The Prime Minister said today that industry must play its part, and we will.

 

But Government must be prepared to work with ports and other industries to understand concerns when they arise so that solutions on important matters such as air quality and marine plastics are viable and achieve a clear goal.

 

We also very much welcome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take back control of UK waters and fisheries and urge Ministers not to dilute or waiver on that commitment as Brexit negotiations progress.

(Port technology 2018.01.12.)

 

첨부파일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