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현대상선

DAILY NEWS_ 2018.1.4 (목)

18-01-15

본문

 

DAILY NEWS_ 2018.1.4 ()

 

1. 인천신항컨 물류 중심항으로 육성                                

[차 한잔합시다 ]남봉현 인천항만공사 사장

인천항은 지난해 컨테이너 300TEU를 달성하면서 동북아 중심항만으로 거듭났다이는 인천신항 개장과 자유무역협정(FTA) 등 인천항이 제공하는 서비스가 다양해지고 네트워크 확장에 따른 결과물이다이처럼 올해도 인천항에 거는 기대가 크다인천항의 운영주체인 인천항만공사의 책임 역시 막중하다.

 

남봉현 인천항만공사 사장은 "국내 수도권 수출입 화주의 물류비 절감과 사회적 물류비용을 낮춰 현재 수도권 수출입 물동량을 끌어올리겠다"며 올해의 각오를 밝혔다.

 

현재 항별로 산재돼 있는 기능의 재배치를 통해 항별 기능을 특화하고 각각의 경쟁력 강화를 유도하겠다는 뜻이다.

 

우선 인천신항을 수도권 컨테이너 물류 중심항으로 육성하겠다고 했다신항 배후단지 조성 및 활성화를 통해 수도권 컨테이너 수출입 물류에 최적인 항만서비스도 제공하겠다는 입장이다수도권역의 산업 활성화를 위해 북항을 벌크 중심항으로 육성하고남항의 컨테이너 기능과 모래·석탄부두 이전으로 발생하는 유휴 항만시설의 활용계획도 내놨다.

 

수출입물류단지 조성 또는 항만재개발 등으로 도시와의 상생을 추구하는 등 신 국제여객부두를 해양관광 벨트의 핵심 거점으로 육성하겠다는 게 남 사장의 생각이다.항구 도시임에도 바다와 단절된 공간에서 살고 있는 시민들이 바다의 매력을 쉽게 느낄 수 있도록 항만에서 조망이 가능한 국제적인 해양문화관광단지 및 워터프런트를 조성하겠다는 포부다.

 

여기에는 내항의 단계별 기능 전환 및 재개발을 통한 해양관광 및 원도심 재생의 견인차 역할도 포함됐다.

 

그는 "2020년까지 1천여 개의 항만 내 직접 일자리 창출과 5600여 개의 간접 일자리(항만건설사업창출이라는 목표를 설정해 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했다.

 

이를 위해 ▶항만 공유가치 창출 ▶미래 성장동력 확보 ▶경영관리 전문화 ▶사회적 가치실현 선도 등 4대 목표 12대 전략과제 26대 세부과제 경영전략 재 설정을 통해 인천항 물류·해양관광 활성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각오다.

 

남 사장은 "올해에는 제23회 바다의 날 행사 인천 유치와 인천항 갑문 축조 100주년이 되는 뜻 깊은 해를 계기로 삼아 인천항이 국제적인 항만으로 재도약하고 새로운 해양시대를 여는 기틀이 될 것"이라고 확신했다.

(기호일보 2018.01.04.)

 

2. 인천항과도 큰 격차… 광양항 끝없는 추락

3년 연속 물동량 하락… 부산항과 투포트 정책 무너져

지난정부 지나친 예산 홀대… 이대로는 2위 탈환 요원

정부의 '투포트(양항ㆍ정책'으로 부산항과 양대축을 이뤘던 광양항이 끝없이 추락하고 있다광양항은 지난 2015년 이후 3년 연속 인천항에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실적 부분에서 2위 자리를 내준 데다 격차까지 날로 커지고 있다.

 

3일 전남도와 여수항만공사 등에 따르면 광양항의 지난 한해 컨테이너 물동량 실적은 221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에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이는 2014(234TEU)최고 실적이후 2015 233TEU, 2016 225TEU에 이어 지난해까지 물동량이 감소하면서 3년 연속 내리막길을 걷고 있다.

 

이로 인해 1985년 수립된 정부의 투포트 정책에 따라 부산항과 양축을 이뤘던 광양항의 지위 마저 크게 흔들리고 있다광양항은 지난 2015년 인천항에 추월당한 뒤 3년 내내 3위에 머물렀다.

 

인천항의 경우 2005 100TEU를 달성한 이후 12년만에 200TEU(2014)를 돌파했고, 3년 뒤인 2017년엔 300TEU를 기록했다인천항만공사의 지난해 연말 수치까지 합산하면 2016년보다 13.5% 증가한 304~305TEU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두 항간의 컨테이너 물동량 실적 격차도 점점 벌어지고 있다지난 2015년 광양항의 컨테이너 물동량 처리 실적은 인천항에 비해 4TEU가 부족했다이어 2016년엔 격차가 43TEU로 늘었고 2017년의 경우 84TEU까지 차이가 벌어져 '2위 탈환'도 그만큼 멀어지고 있다.

 

국내 1위항인 부산항은 지난해 사상 첫 2000 TEU를 달성했다지난해 실적을 최종 집계하면 2050TEU가 될 것으로 항만공사측은 내다봤다경쟁구도에 있던 부산ㆍ인천항이 지난 한해 호황을 누린 반면 광양항만 '나홀로 불황'을 겪은 셈이다.

 

광양항의 실적부진은 지난 정부의 무관심과 예산홀대 탓이다박근혜 정부시절 해양수산부의 예산은 부산과 인천항에 집중됐다. 2015~2017년사이 부산항 예산은 7935억 원인천항 예산은 4510억 원인 반면 광양항 예산은 655억 원에 그쳤다올해 예산안도 부산항이 1770억 원인천항 1045억 원인데 반해 광양항은 215억 원에 불과했다.

 

3차 항만기본계획 수정 계획(2016~2020)상 항만별 사업비 투자 계획에서도 전체 투자액(14 6412억 원) 34%(4 9847억 원)가 부산항에 집중됐으며, 11.3%(16526억 원)는 인천항에, 4.3%(6347억 원)는 광양항에 투자하도록 돼 있다.

 

부산-광양 양항체제가 지난 정부에서 유명무실해지면서 사실상 부산항 중심의 '원 포트 정책'으로 흘렀고광양항이 주춤한 사이 인천항에 추월당했다는 분석이다.

 

광양항 실적부진에 대한 자체 반성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2016 9월 한진해운 법정관리 이후 물류대란이 몰아쳤다당시 국내 1위 선사였던 한진해운은 부산항 다음으로 광양항을 많이 이용했다이에 부산항은 신규항로 유치 등 다양한 전략을 통해 한진해운 여파를 극복하고 지난해 역대 최고의 물동량 실적을 냈다광양항과는 대조적이었다.

 

수도권과 인접하고 산업인프라가 풍부하다는 점에서 인천항의 추월은 이미 예견됐다는 견해도 있지만 광양항의 임대료가 인천항에 비해 8배 가량 저렴하다는 점을 고려하면 광양항의 추락은 충격에 가깝다.이 때문에 광양항과 인천항간 물동량 실적이 크게 벌어져 2위 재탈환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전남도 관계자는 "한진해운 사태로 광양항이 입은 피해가 크다실질적으로 한진해운 물량 비율로 보면 부산항보다 광양항이 더 높다"면서 "특히 정부의 역차별이 해소되지 않는 한광양항은 발목이 잡힌 채 다른 경쟁항에 밀릴수밖에 없는 실정이다"고 밝혔다.

 

 

(전남일보 2018.01.04.)

 

3. 세계 100대 항만 절반 아시아에 위치…중국 20한국 3

중국 항만에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 30% 집중부산항은 2.8%

세계 최대 생산공장이자 소비시장인 중국이 컨테이너 물동량에서 압도적인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부산항만공사 분석에 따르면 2016년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은 20피트짜리 기준으로 69954만개였다.

 

지난해에는 73776만개로 늘었고 올해는 76438만개에 이를 것으로 항만공사는 추정했다.

 

지난해 아시아 지역의 물동량은 전 세계의 54%를 차지했다.

 

유럽(17%), 북미와 라틴아메리카(14.5%), 중동·아프리카·오세아니아(13.5%)가 뒤를 이었다.

세계 전체 물동량 가운데 79.3% 100대 항만을 거쳐 수송됐다.

 

30대 항만의 물동량 비중은 53.4%, 20대 항만은 45.4%, 10대 항만은 31.3%로 상위권 항만으로 범위를 좁힐수록 항만 수 대비 물동량 비중이 높다.

 

100대 항만을 지역별로 보면 아시아에 절반인 50개가 몰려있다.

 

중국이 20개로 가장 많다.

 

일본은 5한국·대만·인도는 각 3개 항만이 포함됐다.

 

한국의 항만 중에서는 부산항이 6인천항이 58여수·광양항이 73위에 올랐다.

 

북미에는 미국 9캐나다 2개 등 11개가 있다.

 

북유럽에서는 영국 3독일 2네덜란드·프랑스·러시아 각 1개 등 9개 항만이 100위 안에 이름을 올렸다.

 

지중해 연안(남유럽)에서는 스페인 3터키와 이탈리아 각 2그리스 1개 등 11개 항만이 포함됐다.

 

중동에는 100위권 항만이 10중남미에는 8개가 있다.

 

아프리카에서는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더반항이 유일하게 100위권에 들었다.

 

100대 항만에 든 중국의 20개 항만이 세계 컨테이너 물동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9.9%에 달했다.

 

부산 등 한국의 3개 항만은 3.7%였다세계 6위인 부산항은 2.8%를 차지했다.

 

북미는 6.1%, 북유럽 7.1%, 중동 5.4%, 지중해 연안 4.63%, 중남미 2.9%, 아프리카 0.37% 순이었다.

 

세계 10대 항만은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항(9)을 빼면 모두 아시아에 있다.

 

중국은 상하이(1), 선전(3), 닝보-저우산(4), 광저우(7), 칭다오(8), 톈진(10등 무려 7개 항만이 10위 안에 포진해 있다.

 

싱가포르가 2홍콩은 5부산은 6위이다.

 

부산항은 지난해 사상 처음으로 물동량 2천만개를 넘어섰고 올해는 2150만개 달성을 목표로 정했다.

(연합뉴스 2018.01.03.)

 

4. 해양산업클러스터 개발 본격 시동

4일 부산항 및 광양항 해양산업클러스터 지역 확정 고시

해양수산부(장관 김영춘) 4(부산항 우암부두(175,931)와 광양항 중마부두 등(287,883)을 해양산업클러스터로 지정한다고 밝혔다해양산업 클러스터는 유휴화된 항만시설에 첨단 해양신산업을 개발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이번 부산항과 광양항이 해양산업클러스터가 지정됨에 따라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었다그간 정부는 ‘해양산업클러스터의 지정 및 육성 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16 5)하고‘제 1차 해양산업클러스터 기본계획(17~21)’을 수립(17 4)하였는데후속조치로 개발계획을 수립·고시한 것이다이에 따라 부산항과 광양항에 해양산업클러스터 세부 대상지역이 확장되었고대상지의 토지이용계획 등 실제 공사를 진행하기 위한 청사진을 마련했다.

 

부산항만공사 및 여수광양항만공사는 금년 중 대사징 개발에 대한 기본·실시설계를 완료한 후 2019년까지 기반시설을 설치할 예정이다해양수산부부산시전라남도(광양시)는 기반시설 설치에 드는 비용의 일부를 지원하여 개발사업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한다는 방침이다.

 

대상지역에 기반시설 설치가 마무리되면해양신산업 관련 민간기업을 유치집적하여 일자리를 창출하고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성장 거점으로 발전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특히부산항에는 해양레저기기선박해양플랜트 등 관련 기업을광양항에는 해운항만물류 R&D 기업을 각각 우선적으로 유치하여 지역별로 차별화된 산업을 육성할 계획이다.

 

해양수산부 관계자는 “연구개발특구 등 타 특구와 유사한 수준의 인센티브가 지급될 수 있도록 앞으로 관계기관과 협의하여 혜택을 늘려나가는 방향으로 제도개선을 추진하겠다”라고 밝혔다.

(물류신문 2018.01.03.)

 

5. "해운업 10년간 위기끝이 보인다"

2018년 해양수산가족 신년인사회 개최

"한국해운 재건의 원년을 맞아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국가필수해운제도폐선보조금 제도 등 각종 정책이 차질없이 시행될 수 있도록 힘과 지혜를 모아야 한다."

 

이윤재 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 회장은 3일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개최된 ‘2018년 해양수산가족 신년인사회’에 참석해 이같이 밝히며한진해운 사태로 위기를 맞은 해운산업 재건을 위해 업계 관계자 모두가 힘을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해양수산부한국해양산업총연합회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주최로 열린 2018년 해양수산가족 신년인사회에는 강준석 해양수산부 차관이덕화 해양수산부 낚시홍보대사 등 해양수산 관련 인사 500여명이 참석했다당초 참석이 예정됐던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일정 관계로 불참하고 영상으로 신년인사를 대신했다.

 

김 장관은 "정부에서는 해양수산업에 활력이 넘칠 수 있도록 혁신형 해양수산으로 탈바꿈해 풍요로운 바다를 만들어가고자 한다" "이 자리가 해양수산 발전을 위한 새로운 자리가 되길 바란다"고 업계 관계자들을 격려했다강 차관 역시 건배사에서 "해수부가 최초로 5조 원대 예산을 확보했다"며 축사를 건넸다.

 

이날 신년인사를 전하기 위해 단상에 오른 이 회장은 올해 해운업계가 역량을 집중해야 할 7가지를 선정이에 관한 제언을 전달했다우선 정부에서 추진하는 각종 정책(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국가필수해운제도폐선보조금 제도)이 차질 없이 시행돼야 한다고 당부했다.

 

이어서 △메가컨테이너 선사 육성 △한국해운연합을 통한 선사 간 협력체제 구축 △국적선사 적취율 향상을 위해 선화주 협력 강화 △대기업 물류자회사의 관행 바로 잡아 공정한 시장질서 확립 △정부 노동정책에 발맞춘 해운산업발전과 양질의 일자리 창출 및 선원복지 향상 △해양환경 규제에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자세를 갖출 것을 주문했다.

 

이 회장은 "우리는 지금까지 10년의 위기를 견뎌냈다" "이제 기나긴 터널의 끝이 보이기 시작한다새해에는 희망찬 발걸음을 내딛길 바란다"고 밝혔다.

 

김임권 한국수산산업총연합회 회장은 해양과 수산의 가치를 헌법에 담아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김 회장은 "미래 청사진을 현실로 만들기 위해 해야 할 일이 하나 더 있다" "무술년 새해가 해양수산의 위상과 가치를 헌법에 반영하는 역사적인 한 해가 되도록 우리 모두 힘과 정성을 모아나가자"고 말했다.

 

한편이날 행사에서는 장학금 전달식도 함께 치러졌다해양수산산업의 주역으로 거듭날 해양수산계 고등학교 학생 총 13명에게 장학금이 전달됐다이후 축하떡 절단식 및 건배 제의가 진행됐으며오찬 및 환담을 끝으로 행사가 마무리됐다.

(에너지경제 2018.01.03.)

 

6. “해양강국 포기못해” 대통령‘조선산업 부활’ 구원투수 자처

3일 무술년 새해 첫 현장시찰…거제 옥포조선소 방문

북극항로 취항 쇄빙 LNG선박 건조현장 방문 및 직원 격려

“힘든 시기 잘 이겨내면 다시 조선강국으로 도약 가능”

‘조선업 혁신성장 방안’ 마련…공공선박 발주 확대·해상풍력단지 조성

“힘든 시기만 잘 이겨낸다면우리가 다시 조선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수주 감소로 사상 최악의 위기를 겪고 있는 조선산업 부활을 위한 구원투수를 자처했다문 대통령은 3일 새해 첫 현장시찰 일정으로 경남 거제 대우조선해양 옥포조선소를 방문했다이번 방문은 지난 2015 8월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시절에 이어 2 5개월여 만이다아울러 문 대통령이 고향인 거제도를 방문한 것은 지난해 5월 취임 이후 처음이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북극항로에 취항 예정인 쇄빙 LNG선박 건조현장을 직접 둘러보고 임직원을 격려했다현재 건조가 진행 중인 야말 6호기의 LNG 화물창을 시찰하고 4일 출항하는 야말 5호선에 탑승해 뱃고동도 울렸다방명록에는 “일어서라 한국조선해양강국 대한민국!”이라고 적었다.

 

쇄빙 LNG 운반선은 세계 1위를 자랑하는 우리 조선산업의 쾌거로 최대 2.1m의 얼음을 쇄빙하고 영하 52도의 극한환경에서도 장비를 안정적으로 가동할 수 있도록 설계·제작됐다대우조선해양이 기술개발에 성공해 지난 2014년 총 15척의 선박을 수주했다특히 자체 쇄빙기능을 가진 LNG선으로 북극항로를 운항하면 수에즈 운하와 인도양을 거치는 기존 남방 항로에 비해 운송거리시간비용을 3분의 1이나 절감할 수 있다.

 

문 대통령은 쇄빙 LNG 선박 건조현장을 시찰한 뒤 갑판에서 가진 연설에서 “조선산업은 지난 수년간 수주 감소로 사상 최악의 불황을 경험하고 있지만 세계 최고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가졌다”며 “세계 최초로 건조한 쇄빙 LNG운반선이 이를 입증한다전문가들은 23년 후부터는 조선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특히 “역사 이래 바다를 포기하고강국이 된 나라는 세계 역사에 없었다”며 “우리는 개방통상국가의 길을 걸어왔고 앞으로도 그 길로 나아가야 한다해양강국의 비전은 포기할 수 없는 국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문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조선산업 부활을 위한 화끈한 지원책도 다짐했다문 대통령은 조선산업의 위기극복과 재도약을 위해 ‘조선업 혁신성장 방안’을 1·4분기 중에 마련해 이행해 나갈 것이라면서 △쇄빙연구선밀수감시선 등 공공선박 발주 확대 △19억달러 규모의 선박발주 프로그램 △노후선박 교체 지원 보조금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조성 등을 약속했다이밖에 “미래를 대비한 조선 산업 경쟁력 강화대책도 추진하겠다”며 “친환경자율운항 기술은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다해운업금융기자재 협력업체가 서로 협력하고상생할 수 있는 생태계 조성도 서두르겠다”고 강조했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부는 우리 경제의 새로운 성장 공간을 러시아·중앙아시아 등 대륙에서 확보할 수 있도록 북방 국가와의 협력을 강화하고 있다”며 “특히 북극항로는 아시아와 유럽간 운송을 종전보다 10일 이상 줄일 수 있는 최단항로로서 북극 LNG 등 자원개발로 그 활용가치가 증가하고 있다쇄빙 LNG선 등 고부가가치 선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 우리 조선업과 관련 기자재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편 이날 문 대통령의 현장시찰에는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최종구 금융위원장송영길 북방경제협력위원장은 물론 정성립 대우조선해양 사장과 홍성태 노조위원장이 함께 했다청와대에서는 장하성 청와대 정책실장홍장표 경제수석김현철 경제보좌관박수현 대변인 등이 동행했다.

(이데일리 2018.01.03.)

 

7. 금년말 메가 컨선 200척 이상 달할 듯

SeaIntel Maritime Analysis에 따르면글로벌 컨테이너 해운 업계는 금년말까지 1 4,000TEU급 이상의 컨테이너 선박 108척을 인도받을 예정이며, 2018년 연말에는 운항중인 메가 컨테이너 선박의 숫자가 2배인 200척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해운 얼라이언스인 2M THE Alliance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 수십척을 추가로 배치함으로써 기존 서비스를 보강하고 단위 비용을 낮추기 위하여 새로운 선박들을 단계적으로 배치할 예정이라고 SeaIntel이 밝혔다.

 

2018년도에 Ocean Alliance 소속 초대형 컨테이너 선단의 크기는 60% 정도 증가할 것으로 보이며이들 대부분의 선박들은 연초에 인도받을 예정이다.

 

SeaIntel은 “Ocean Alliance가 변화하는 선단 포트폴리오를 최적화하기 위해서는 현재 그들이 보유하고 있는 네트워크의 기본 구조를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기도 하다”고 애널리스트들이 밝혔으며“일반적으로 네트워크의 주요 구조 조정은 중국의 구정 연휴와 연계하여 통상 1분기와 2분기초에 발생한다이 시기는2018년도 선박 인도 일정과 매우 일치한다”고 밝혔다.

 

SeaIntel CEO Alan Murphy는 “따라서화주들은 2M THE Alliance의 네트워크 구조가 소폭의 수정만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2018년을 준비해야 한다"고 밝혔으며, "하지만, Ocean Alliance는 대형 선박들의 신속한 인도로 인하여더욱 과감하게새로운 제품과 네트워크 구조를 제공하는 방향으로 그들의 네트워크를 바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쉬핑데일리 2018.01.03.)

 

8. Wan Hai, 4개 선사와 중국-인도 서비스 개시

대만의 정기선사인 Wan Hai Lines 4개의 선사들과 협력하여 1 23일부터 중국 동부와 인도간을 연결하는 새로운 화물 서비스를 운영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새로운 서비스는 Cosco, Interasia Lines, Orient Overseas Container Line 그리고 싱가포르의 X-Press Feeders Group과 공동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Wan Hai Lines을 포함하는 이들 5개의 회사측 관계자들은 인도가 지난 2년간 7~8%의 경제 성장을 기록했으며향후에도 계속 견실한 경제 성장을 이룰것으로 확신한다고 밝혔으며인도가 세계 경제 규모 6위인 영국을 대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The Central News Agency(CNA)가 보도했다.

 

금번에 출범하는 중국 동부와 인도를 연결하는 새로운 노선은 인도의 경제 성장으로부터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려는 많은 대만 기업들에게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CI3로 명명된 서비스 노선은 일주일에 한번 운항하며기항 순서는 Shanghai, Ningbo, Hong Kong, Shenzhen-Shekou, Singapore, Port Klang, Chennai, Kattupalli, Port Klang, Singapore 그리고 다시 Shanghai의 순서로 기항한다고 Wan Hai측 관계자가 밝혔다.

 

각각의 왕복 운항에는 35일이 소요되며, 4,250TEU급 컨테이너 선박 5척이 이 노선에 배치될 예정이다이 노선에는 Wan Hai 2, Cosco Interasia는 각각 1척씩 배치할 예정이며, OOCL X-Press가 공동으로 5번째 선박을 배치할 예정이라고 한다.

(쉬핑데일리 2018.01.03.)

 

9. Port of Antwerp Supports West African Link

Port of Antwerp International (PAI), the consultancy and investment subsidiary of Antwerp Port Authority, has announced that it will modernize the port of Cotonou in the West African country of Benin.

 

To further expand and strengthen Port of Cotonous position, the Benin government has temporarily outsourced the management of the port to PAI to allow a reformed port authority to compete with the surrounding ports.

 

Kristof Waterschoot, Managing Director of PAI, said: Our main task will be to modernise the port authority in organisational terms, renovate the obsolescent facilities and prepare for and guide the expansion of the port.

 

In the short term PAI will take over some key functions within the port authority, in order to study the processes from the inside.

 

PAI has announced that it is trying to recruit eight expats who will carry out the task on the ground by calling upon APEC, the training centre for the Port of Antwerp.

 

Waterschoot said: For example were looking for a CEO and a Chief Financial Officer, but we have the explicit aim under the terms of our remit to organise management training courses for local managers, to prepare them for a gradual transfer of these key functions.

 

The port is the economic heart of Benin, handling an annual freight volume of around 12 million tonnes.

 

Antwerp has the highest proportion of direct services to West Africa of all ports in Northwest Europe, which translates into a market share of almost 50%.

 

Benin is an investment subsidiary of Antwerp Port Authority, which has already carried out various consultancy tasks in the port of Cotonou in 2017.

 

The port has a strategic importance in the region, as it is also one of the main gateway ports for the sub-region, such as the countries of Burkina Faso, Niger and Mali.

 

Cotonous Port Alderman, Marc Van Peel, who is also chairman of PAI, said: We are delighted that the Benin government has opted for the expertise and knowhow of Antwerp.

 

With our subsidiaries APEC and PAI we have been working for a long time on the passing on and sharing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order to strengthen the worldwide network of our port and to ensure that Antwerp is and remains top of mind at the international level of decision makers in the maritime world.

(Port technology 2018.01.03.)

 

10. Cargo Ship Sinks After Bulk Vessel Collision in Shanghai

The Shanghai Maritime Safety Administration is coordinating a search and rescue operation for at least 10 people that are missing after their cargo ship sank off the coast of Shanghai yesterday (January 2, 2018).

 

The Changping, which was loaded with 5,000 metric tons of steel, collided with a bulk cargo ship, the Xinwang 138, while anchoring in a harbor near the Shanghai Port Wusong Passenger Center, according to Chinese media site The Paper.

 

Three people  the ships Chief Officer, Head Engineer, and a crew member  were rescued around an hour after the accident, which occurred at 11:39 pm.

 

The ship was reportedly en route to Shanghai from Yingkou, a city in northeastern Chinas Liaoning province.

(Port technology 2018.01.03.)

 

첨부파일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