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현대상선

DAILY NEWS_ 2017.9.29 (금)

17-10-02

본문

 

DAILY NEWS_ 2017.9.29 ()

 

1. 내년 '바다의 날행사 인천항서 열린다

해수부개최지 선정… 갑문 축조 100년 맞아 의미 더해

내년 '바다의 날행사 개최지로 인천이 확정됐다.

 

해양수산부는 내년 5 31일 열리는 '23회 바다의 날기념식을 인천 중구 내항 8부두에서 개최한다고 28일 밝혔다.

 

1996년부터 시작된 바다의 날 행사는 매년 바다를 끼고 있는 도시가 돌아가며 개최하고 있다인천시는 지난 2003년 개최 후 지금껏 이 행사를 유치하지 못했다.

 

특히 내년은 인천항 갑문 축조 100주년(1918 10월 준공)이 되는 해로 시는 바다의 날 행사와 연계해 인천 해양의 가치를 재조명하는 행사들을 다양하게 펼칠 예정이다.

 

행사 참석자들을 대상으로 갑문과 인천대교월미도송도신도시 등을 돌아보는 선상 투어가 계획돼 있고갑문 100주년 기념 '바다 사랑 손바닥 조형물 제작행사를 준비하고 있다시민들이 참여하는 바다 그리기 대회팔미도 등대음악회항만시설 견학도 바다의 날에 맞춰 진행된다.

 

갑문 축조 100주년과 관련해서 시는 100주년 기념 조형물 제막식인천 해양역사 재조명 선포식인천항 포럼 발족인천항 발전 영상물 상영크루즈 선상 견학해양체험행사 등을 계획하고 있다.

시는 다음 달부터 바다의 날 준비를 위한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해 해양 도시 인천의 위상을 국민들에게 알릴 수 있도록 행사 준비에 총력을 쏟을 방침이다.

 

인천시 관계자는 "내년 바다의 날 행사를 해양도시 인천의 품격을 한 단계 올릴 수 있는 계기로 만들 것"이라며 "시민들도 인천에서 개최될 바다의 날 행사에 많은 관심을 가져주길 바란다"고 말했다.

(경인일보 2017.09.29.)

 

2. [경인일보 창간 특집인천]인천항 내항과 신항

내항 TOC통합·재개발… 수도권 관문 '신항돛 올렸다

인천항은 역사적으로 서구 문화를 처음 받아들인 개항장이다인천항은 1883 1강화도 조약에 의해 부산항과 원산항 등에 이어 3번째로 개항했다이어 그해 6월 수입화물에 대한 관세 사무행정을 담당할 해관이 설치됐고, 1903 6월에는 우리나라 최초의 근대식 등대인 팔미도 등대도 세워졌다.

 

개항 후 빠른 속도로 성장한 인천항은 근현대 대한민국 경제 발전의 원동력으로 작용했다그중 내항은 인천항 발전의 중심이었다. 1974년 국내 최초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를 만든 내항은 수도권의 관문으로서 그 역할을 충실히 해냈다.

 

하지만 수년간 국가 경제의 견인차 구실을 했던 내항은 남항북항신항 등 외항이 잇따라 개항하면서 그 소임을 내주고 있다오는 11월 인천 신항이 완전히 개장하고,인천 내항 부두운영사(TOC) 통합과 1·8부두 재개발이 시작되면 인천항의 중심은 내항에서 신항으로 이동하게 된다.

 

 TOC 통합항만재개발로 역할 축소되는 인천 내항

1974년 개장한 인천 내항은 경인 공업지역의 원자재와 소비재 물동량의 증가로 폭발적인 성장을 거듭해왔다게다가 갑문 시설이 확충되면서 최대 5t급 대형 선박들이 상시 입출항할 수 있는 항만으로 변모한다하지만 최근 선박들이 대형화되고새로운 항만들이 생겨나면서 내항의 물동량은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했다.

 

인천항만공사가 발표한 '인천 내항 TOC 통합 타당성 검토 및 방안 수립 연구용역 중간보고자료를 보면 2010년 내항의 물동량은 1862t에 달했지만, 2015년에는 1604수준으로 떨어졌다이에 따라 최근 3년 동안 내항 TOC 10개사는 192억 원의 누적 적자를 기록하는 등 경영난이 가중되고 있다.

 

이에 인천항 노·사·정은 내년 5월 단일 부두운영사 출범을 목표로 협상을 벌이고 있다일부 TOC가 경영난으로 문을 닫아 부두 운영에 차질이 생기거나 갑작스러운 대량 실직 사태가 벌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지난달 인천항 노사정이 항운노조원의 고용과 근로조건을 보장하고자발적 희망퇴직을 제외한 인위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기로 합의하면서 통합 성사 가능성은 한층 커진 상황이다.

 

내항 TOC가 통합되면 항만 기능이 폐지된 부지의 재개발 사업도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인천 내항 재개발은 지역의 핵심 숙원 사업이다항만물류시설과 주거·상업지가 너무 인접해 환경 피해를 호소하는 주민 민원이 끊이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부두 하역작업으로 수십 년 동안 소음과 날림먼지 피해를 봤다며 부두 전면 개방을 계속해서 요구해왔다이에 해양수산부는 최근 인천 내항 1·8부두 453천㎡에 대한 항만재개발 사업화 방안 수립 용역에 착수했다.

 

민간사업 시행자를 찾지 못해 표류하던 이 사업은 작년 말 인천시, LH, 인천항만공사가 공공개발 방식으로 추진하기로 협약을 맺으면서 속도가 붙었다.

 

해수부는 내년 상반기까지 사업제안서를 제출하도록 하고 이후 사업 타당성 검토3자 제안공모사업계획 수립실시계획 승인 등을 거쳐 2020년 사업 착수가 가능하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 새로운 인천항의 중심이 될 인천 신항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매년 상승 곡선을 이어가고 있다지난 2013년 처음으로 200TEU(1TEU 20피트 컨테이너 1)를 넘어선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2015238TEU를 기록했고지난해에는 역대 최대치인 2679700TEU를 달성했다.

 

올해에는 지난 2 200TEU를 돌파하는 등 애초 목표로 했던 300TEU를 돌파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인천항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의 중심에는 인천 신항이 있다. 2015 6월 선광신컨테이너터미널(SNCT)이 개장하면서 본격적인 운영에 들어간 인천 신항은 이미 인천항 전체 컨테이너 물동량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인천 신항 물동량은 지난해 상반기 335TEU에서 올해 같은 기간에는 673TEU 50% 이상 증가했다올 상반기 신항에서 처리한 물동량은 인천항 전체 물동량(1469TEU) 45.8%에 해당하는 것이다.

 

인천 신항 개장 전의 인천항은 4TEU 정도를 싣는 선박까지만 수용할 수 있는 세계 60위 권 항만이었다인천 신항 개장 이후 인천항은 달라졌다아시아 권역 서비스를 중심으로 운영하던 인천항은 신항 개장으로 대형 선박 입항이 가능해지면서 미주와 중동 지역으로 노선을 확장했다.

 

오는 11월 한진인천컨테이너터미널(HJIT)이 완전히 개장하면 2007년 인천 신항 사업 착수 10년 만에 직선거리 1.6터미널 전체 면적 96만㎡ 개발이 마무리된다인천 신항이 인천항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게 되는 것이다.

 

인천항만공사는 신항에 고부가가치를 올릴 수 있는 냉동·냉장화물과 안정적으로 물동량을 확보할 수 있는 대량화물 유치 전략을 세우고 있다이를 바탕으로 오는 2025년에는 연간 물동량 450TEU를 달성해 세계 30위권 항만으로 도약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경인일보 2017.09.29.)

 

3. BPA, 자체 빅데이터 기반 경쟁력 강화 도모(부산항)

부산항만공사(BPA, 사장 우예종)는 조사분석실을 통해 추진되고 있는 다양한 과제연구와 4차산업혁명 주요 기술인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부산항의 경쟁력을 한층 더 강화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BPA에서 추진 중인 세계물류 Hub, 해양관광/항만비지니스 Hub, 항만연관서비스 Hub  3대 허브화 전략과 연계하여 도출된 주요 과제에 대하여 그 중요도와 시급성에 따라 우선순위를 정하고 BPA 내부 실무담당과 외부전문가를 지정하여 분야별 과제 연구를 공동 진행할 예정이다.

 

BPA는 외부전문가와 내부 실무진이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할 경우, BPA 내부에 축적되어 있는 각종 현장의 실질적인 데이터의 활용이 쉽고담당 지정에 따른 내실 있고 책임성 있는 과제 관리와 함께외부전문가의 전문적 식견이 결합된 실현 가능한 정책 방안이 마련되어 부산항 이해관계자들을 위한 사업 추진 시 적극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서울사무소와 해외대표부(중국일본유럽)에도 연구 기능(조사분석)을 부여하여 국내·외 전문가 집단을 적극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BPA 본사와의 시간적공간적 제약을 초월한 연구 과제를 수행할 예정으로부산항을 이용하는 고객의 애로사항을 폭넓게 파악하여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BPA는 자체적으로 해운항만물류 분야에 대한 각종 조사분석 리포트를 주기적으로 발표하고 있다이러한 조사분석 리포트는 올해 9월초부터 운영 중인 “빅데이터 시스템”을 통하여 작성되고 있으며앞으로 지속 활용할 계획이다.

BPA는 앞으로도 해운항만물류 분야의 각종 실질 데이터 확보를 위한 시스템 확충과수집된 각종 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여러 가지 정책방안을 마련하여 실행하는 등 부산항 경쟁력을 강화시키는데 BPA가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겠다고 강조했다.

(쉬핑데일리 2017.09.28.)

 

4. 군산항 6부두 컨테이너 전용부두사드 보복 직격탄

군산항 6부두 컨테이너 전용부두가 사드 보복의 직격탄을 맞고 있다.

 

특히올해 들어 부도 위기라는 최악의 상황을 극복하고 경영 정상화에 바짝 다가섰던 ‘컨부두’ 운영사인 군산컨테이너터미널㈜ (이하 GCT· 대표이사 김철성)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

 

GCT에 따르면 지난달 말 현재 실적은 22669TEU(1TEU= 20피트 컨테이너 1)로 지난해 같은 기간 13861TEU 대비 61% 급증했다.

 

그러나 8월부터 사드 영향권에 빠져들면서 하향세에 접어들었다. 실제로 올 8월·9월 처리량은 각각 2616TEU·2510 TEU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8·9월 처리량 2502TEU·2461TEU 대비 21%·14% 감소한 수치다.

 

따라서 지금처럼 한중 관계가 악화일로를 벗어나지 못하면 GCT 역시 그 여파로 상당한 고전이 예상된다.

 

더구나 GCT가 확보한 항로 7개가 중국과 연관됐다는 점에서 심각성을 드러내고 있다.

 

현재 개설된 항로는 ▲군산~광양~상해~평택 ▲연태~대련~군산광양일본(요코하마,도쿄,나고야,와카야마)▲ 일본(요코하마도쿄나고야와카야마)~부산~군산~인천~대련 ▲군산~상해~닝보~인천 ▲군산~대산~청도~부산~광양 ▲군산~부산~일조 ▲ 연운항~위해~군산~부산 등이다.

 

김철성 대표는 “설상가상 다음달 추석 연휴가 긴 데다 사드 여파로 대 중국 물량 감소 추세가 감지돼 걱정”이라고 토로했다.

 

한편, GCT는 전북도와 군산시군산항 하역사인 CJ대한통운세방선광을 주주사로 지난 2004년 설립됐다.

 

자본금은 총 93억원으로 전북도와 군산시가 각각 84천만원하역 3사가 762천만원을 투자했다.

(전북도민일보 2017.09.28.)

 

5. 홍콩항, 8월 ‘컨’ 물동량 7개월만에 감소

2% 감소한 176TEU 기록

홍콩항이 처리한 8월 컨테이너 물동량이 7개월만에 감소세로 돌아섰다.

 

홍콩해운항만국에 따르면 홍콩항이 처리한 8월 컨테이너 물동량은 전년 동월 대비 2% 감소한 1761000TEU(20피트 컨테이너)였다지난해 하반기부터 홍콩항의 물동량은 회복 추세를 보였으나최근 들어 찬물을 끼얹은 형국이다. 8월 실적 내용은 콰이충 컨테이너터미널이 3.5% 증가한 1341000TEU, 콰이충 터미널 이외가 15.5% 감소한 42TEU였다.

 

1~8월 물동량은 전년 동기 대비 9% 증가한 13759000TEU였다콰이충이 10% 증가한 1079TEU, 콰이충 이외가 7% 증가한 2969000TEU였다.

외신팀 >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09.28.)

 

6. 한국해운연합조직 구성…정태순 장금상선 회장 대표 선출

해운업 재건을 목표한 한국해운연합(KSP)이 조직 구성을 마쳤다정태순 장금상선 회장이 대표를 맡았다내년 상반기 본격 출범을 앞두고 회원사 간 논의가 본격화할 전망이다.

 

29일 해양수산부와 한국선주협회 등에 따르면한국해운연합(KSP)는 국적 14개 선사 대표들이 참여한 운영위원회를 구성하고 실무위원회와 중재위원회사무국 등을 조직했다. KSP 대표는 운영위원회에서 선출하며초대 대표는 정태순 장금상선 회장이 맡았다운영위원회를 지원할 실무위원회는 이환구 흥아해운 부사장이 이끌기로 했다. KSP 간사를 맡은 이 부사장은 실무위원회를 통해 업계 이견을 조율한다.

 

KSP는 지난달 국적 컨테이너 선사 14개가 업무협약을 맺으며 본격 출범했다한진해운 파산 후 쇠락의 길을 걷고 있는 국내 해운업계 재건을 목표로 하고 있다아시아 해운시장에서 국내 업계간 과잉경쟁을 막고유휴 선복의 교환 등을 통해 공동의 이익을 창출하는 데 목적이 있다내년부터 항로 조정이 이뤄질 계획이다. 2020년까지 한시적으로 운영되는 협력체지만 국적 컨테이너 선사가 한 뜻으로 모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운영위와 실무위를 구성한 KSP는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세부 운영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특히베트남과 태국 등 물동량이 많아 항로가 집중된 동남아시아 주요 구간에 선복 투입 규모를 조절할 방침이다한일항로도 일부 조정이 있을 전망이다참여하는 선사가 14개인 만큼 각 선사의 이해관계도 첨예하다구조조정이 될 항로에서 선복 조절로 인해 선박을 빼는 선사에 보조금을 주는 방안이 검토 중이지만 규모나 대상 등에 논란이 있을 수 있다. KSP 탈퇴가 자유로운 만큼 일부 선사의 이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KSP의 통합 선복량은 60TEU를 넘어선다머스크라인(350TEU), MSC(313TEU) 등과 비교하면 적지만 선대 규모는 세계 10위권 내로 진입하는 수준이다국적 컨테이너 선사 중 선대가 가장 큰 현대상선의 선복량은 35TEU 14위에 집계돼 있다아시아 지역에서의 항로 합리화를 위해 결성한 KSP의 선대인 만큼 원양선사와 직접 비교하긴 어렵지만선복량만을 두고 봤을 때 경쟁력은 있는 구조다.

 

업계 한 관계자는 "KSP가 제대로 운영되는 과정에서 일부 불만은 불가피하다"라며 "운영위와 실무위가 구성됐으니 다음달부터 본격적인 세부 조율에 들어갈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토마토 2017.09.28.)

 

7. 브라질 정부머스크·함부르크수드 인수 승인

함부르크수드 브랜드 현조직체제 유지

덴마크 컨테이너선사인 머스크라인이 브라질 정부로부터 독일 선사 함부르크수드를 승인받았다.

 

외신에 따르면 최근 브라질의 경쟁국이 관보에서 인수 승인을 공표했다함부르크수드의 모회사인 독일 외트커그룹은 지난 3월 머스크와 사업 양도 계약을 체결했다올해 말까지 인수 절차를 마칠 예정이다.

 

이미 유럽집행위원회(EC) 승인을 받은 터라 걸림돌은 사라졌다는 분석이다미국 해운전문지인 저널오브커머스는 “인수에 청신호가 켜졌다”고 보도했다.

 

머스크는 함부르크수드 인수로 브라질 시장이 과점화될 수 있다는 당국의 우려를 피하기 위해 지난 6월 자회사인 브라질 메르코수르라인을 CMA CGM에 매각했다.

 

브라질당국은 머스크와 스위스선사 MSC가 구성한 얼라이언스 2M의 영향력 확대를 함부르크수드 인수의 중요한 기준으로 판단했으나 큰 문제가 없다는 결론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인수 이후에도 함부르크수드의 브랜드와 현 조직 체제는 유지될 전망이다.

외신팀 >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09.28.)

 

8. 드라이 벌크 시장 개선신조 발주 활동 견인

드라이 벌크 시장의 반등에 일부 선주들이 지난 수주 동안의 둔화세에도 불구하고 신조 시장에 자금을 집중시키고 있다최근 주간 보고서에서 Allied Shipbroking은 “신조 발주 활동에 있어서는 지난 수주 동안 전반적으로 더딘 흐름이 있었다다만동시에 루머도 계속 확산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 수개월 동안 구매관심은 대부분 드라이 벌크 시장의 전망 개선의 영향이 컸다견조한 운임에 바이어들의 관심이 강해졌다가격 측면에 있어서 상황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었다다만, TIER III 디자인에 있어서 신규 발주가 큰 폭으로 나타나지 않은 점을 감안할 때 현재 가격은 새로운 선박 디자인 프리미엄을 고려하면 부적절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와 동시에 지난 수년 동안 신조 계약의 동력이 되어온 탱커 시장은 신조 발주와 새로운 구매 관심 모두에 있어서 부족했다바이어들은 대형 원유 선박에 대해서는 별 다른 관심을 보이지 않은 가운데프로덕트 탱커 부문에서 나타난 관심은 겉보기에 저조해 보인다.

 

Clarkson Platou Hellas는 “이번 주 컨테이너 시장에 보고된 신조 발주 건수는 2건이다. DSME MSC와 더불어 2 2000TEU 컨테이너 선박 5척 확정 발주 계약을 체결했다이 선박은 2019년 하반기와 2020 3월 사이 한국 옥포에서 인도될 예정이다. CMACGM는 또 중국에서 2 2000TEU 컨테이너 선박 확정 9척 시리즈를 발주했다.이 발주분은 SWS  Hudong Zhonghua로 나뉘어 진행될 것이고해당 선박들은 2019년과 2020년 동안 인도될 예정이다"고 했다.

 

이어 " 가스 부문에서 Petredec 2척 추가 옵션을 선언함으로써 중국 Jiangnan Shipyard에서 8 4000CBM  VLGC 선박 시리즈를 확장했다. 2019 4분기에 인도될 예정인 이 2척 선박은 시리즈 선박 중 3차와 4차 선박이다일본에서 Sasaki Zosen는 국내 선주 Toda Kisen로부터 5,000CBM LPG 선박 확정 2척 발주를 확보했다해당 선박들은 2019년 내에 인도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선박 매매 시장에서 선박 가치평가 전문 업체 VesselsValue는 드라이 벌크 부문에 대해 벌커 가치가 이번 주 소폭 견조세를 보였다고 전했다. VesselsValue는 “Songa Bulk Cape Claudine(181,300 DWT, 2011, STX Offshore)호를 3050만 달러에 매입했는데이는 VV 기준가 2918만 달러를 상회한다. Panamax Bulker United Liberty(81,800 DWT, Mar 2015, Tsunieshi Zosen)호는 2485만 달러에 매각되었는데이는 VV 기준가 2416만 달러를 상회한다.

 

Sanzo Enterprise Supramax Santa Phoenix(56,000 DWT, 2006, Mitsui Ichihara)호를 1200만 달러에 매각했다이는 VV 기준가 1125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다핸디사이즈 리세일 부문에서는 396 Hull (37,700 DWT, Avic Weihai Shipyard Co, 2017)호가 1690만 달러에 매각되었는데이는 1595만 달러를 상회하는 수준”이라고 전했다.

(쉬핑데일리 2017.09.28.)

 

9. Ports of Auckland Orders New Cranes in Automation Drive

Ports of Auckland is ordering three new container cranes from Shanghai Zhenhua Heavy Industries (ZPMC) for delivery in late 2018 as part of plans to add automated processes to the terminal and almost double its capacity.

 

The cranes will travel from Shanghai to New Zealand cranes to serve Ports of Auckland's new deep-water container berth at the north end of Fergusson container terminal.

 

Wayne Thompson, Deputy Chief Executive, said: "The investment we are making at our terminal, in new equipment and automation, will allow us to significantly increase our capacity.

 

Projects underway or planned will increase capacity from 900,000 TEUs a year currently to around 1.6 1.7 million TEUs, enough to cater for the needs of an Auckland population of over 2.5 million.

 

With further investment we estimate that on our existing land area we can handle up to 3 million TEUs, catering for an Auckland population of 5 million people."

 

The new cranes are part of Ports of Aucklands strategy to grow its container throughput while respecting Aucklanders' desire to protect the Waitematā harbour.

 

Safety is also an important consideration in the design of the new cranes.

 

Why is realizing the full potential of automated terminals for operational performance taking so long? Rich Ceci, Port of Virginia, and Oscar Pernia, Navis, explain all in their 'Automated Intelligence' technical paper

 

In a New Zealand first, they will come fitted with lashing platforms that will automated quayside twistlock handling so that the ports dock workers no longer work on the ground next to heavy machinery.

 

The ports existing cranes will also be retrofitted with lashing platforms.

 

Thompson added: "The new cranes will be able to carry up to four containers at once, so we will be able to load and unload ships faster.

 

The new berth they will be installed on is our deepest, so this will become our premium berth able to handle the biggest ships with higher productivity.

 

"The cranes come fitted with a number of features to reduce energy consumption, as well as a 26kW solar power system to offset mains power consumption."

 

"With the arrival of the new cranes at the terminal next year, we will no longer need the old container cranes on Bledisloe wharf and they will be removed in due course.

 

With the efficiency gains we have made over the last six years, we no longer need a second container terminal."

(Port technology 2017.09.28.)

 

10. LA Port Says Road Links Pose Quake Risk

If a major earthquake strikes LA Port, the largest port complex in the US, railways and roads would be vulnerable links in the supply chain, according to CNBC.

 

Major earthquakes happen on segments of the San Andreas about 150 years apart, and areas of fault line near LA are overdue by as many years.

 

AIR Worldwide, a catastrophe modelling and risk management consultancy, estimated around $300 billion in damage to properties in California if a major quake were to occur.

 

A large earthquake in California might also trigger tsunamis impacting on coastal areas.

 

Duane Kenagy, Interim Deputy Executive Director of the Port of Long Beach said standards for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of the port facilities consider seismic risks.

 

At LA Port, cargo terminals and harbour facilities are built on manmade artificial landfills as parts of the port expanded, but this may not be a serious threat to port operations.

 

Port of LA Director of Media Relations Phillip Sanfield said: "We could be up and running here after a major quake and have all of our ships coming in and going, but there could be a problem with rail or highways that doesn't allow the goods to leave the port or get to the port

(Port technology 2017.09.28.)

 

첨부파일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