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현대상선

DAILY NEWS_ 2017.8.31 (목)

17-09-01

본문

 

DAILY NEWS_ 2017.8.31 ()

 

1. 해수부 대통령 업무보고…"해운산업 재건으로 글로벌 해양강국 건설“

해양수산부가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설립분산된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통합해 선사에 대한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해양영토 수호를 위해 해경함정어업지도선 접안시설을 확충하고독도경비 강화를 위한 3000톤 급 해경 함정을 추가로 건조한다.

 

김영춘 해양수산부 장관은 30일 정부세종청사 교육부 대회의실에서 열린 '핵심정책토의'에서 이 같은 방안을 내용을 골자로 한 정책 방향을 문재인 대통령에게 보고했다.

 

우선 정부는 '한국해양진흥공사법'을 올해 말까지 제정하고 내년 6월 해운업의 금융·정책 지원을 전담하는 한국해양진흥공사를 출범할 수 있도록 추진한다이를 통해 분산된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통합하고해운 산업 전반에 걸친 지원 대책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또한 강화되는 국제 환경규제에 대응하기 위해 내년부터 노후 선박을 친환경 선박으로 교체할 경우 보조금을 지급한다이를 위해 2022년까지 총 400억여원의 예산을 투입해 100척의 대체 건조수요를 창출하고 관공선연안여객선 발주를 확대해 해운-조선간 전략적 상생을 도모한다.

 

아울러 '선·화주 상생펀드'를 조성해 해운 화물 물량의 안정적 확보를 꾀하고석탄 등 전략물자에 대해 현행 최저가 입찰 방식이 아닌 선사의 안전성·영업실적 등을 고려하는 종합심사낙찰제 도입을 추진한다.

 

한진해운 사태를 교훈삼아 물류기능 마비 등의 국가위기 시 선박과 선원항만운영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국가필수해운제도의 도입을 검토한다.

 

국적 컨테이너 선사 14곳이 참여하는 한국해운연합(KSP)을 통해 중복항로 조정과 신항로를 개척하고글로벌 터미널운영사를 육성해 국적 선사의 국내외 주요 거점항만 진출을 돕는다.

 

부산항 육성을 위한 '메가 포트 육성전략'과 인천신항 터미널 등 인프라 구축 방안도 마련해 국내외 물류망을 확충한다.

 

한편우리 해양영토 수호를 위해 해경함정어업지도선 접안시설을 확충하고독도경비 강화를 위한 3000톤 급 해경 함정을 추가 건조한다.

 

중국 불법어선 확인과 즉각적인 단속자료 공유가 가능한 한중 공동단속시스템을 연말까지 구축하고가을 성어기에 해수부-해경의 체계적인 합동단속을 실시해 중국어선 불법조업도 근절한다.

 

기존 규제 중심에서 민간의 자율적 참여로 자원관리 패러다임을 전환주요 어종 산란기에 조업을 중단하는 휴어제 도입을 검토하고어선감척대상을 기존 32개에서 41개 업종으로 확대해 연근해 수산자원을 회복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김 장관은 "해양수산은 국가 경제의 중요한 한 축이자 국민의 삶과 지역경제 발전을 책임지는 미래 산업"이라며 "해양의 모든 것을 새롭게 바꾼다는 재조해양(再造海洋)의 자세로 글로벌 해양 강국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아주경제 2017.08.30.)

 

2. 한진해운사태 1-부산항 국적선사 점유율 34%로 떨어져위상 크게 추락

31일은 한진해운이 법정관리를 신청한 지 1년 되는 날이다한진해운은 한때 세계 7위의 위상을 자랑했던 한국 국적선사다하지만 법정관리를 거쳐 올해 2월 파산했다.부산항 물동량의 8.8% 를 차지했던 한진해운이 파산한 이후 부산항은 그동안 어떤 변화를 겪었을까.

우선 한진해운 사태 이후 부산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수출입과 환적)은 증가추세에 있지만 한국 국적 선사의 위상은 크게 추락했다부산항만공사 조사결과 지난해 1~7월까지 20피트짜리 컨테이너 기준 총 물동량은 11329000여개였다올해 같은 기간에는 11946000여개로 5.4% 늘었다.

 

월별 평균을 보면 2017 1~8월 수출입 컨테이너 물동량은 843352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 792700여개환적 컨테이너 화물은 85646개로 지난해 같은 기간 827436개보다 증가했다한진 사태 이후에도 부산항 물동량은 증가추세에 있는 것이다부산항만공사는 “이 같은 추세라면 올해 부산항 컨테이너 물동량은 사상 처음으로2000만개 돌파가 가능하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부산항에서 외국 선사의 역할은 더욱 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올해 상반기 부산항 전체 물동량 가운데 외국 선사의 점유율은 66.0%로 지난해 같은 기간61.5%보다 4.5% 포인트 증가했다반면 국적선사 비중은 지난해 상반기 38.5%에서 34.0%로 낮아졌다한마디로 한진해운의 물동량을 외국 선사가 가져갔다는 의미다.

 

외국 선사의 비중은 선복량(적재 가능한 선박 용량)에서도 알 수 있다지난해 한진해운 등 국적선사의 선복량은 105 TEU (1TEU 20피트 컨테이너 1)였으나 올 8월은 39TEU로 무려 62%나 감소했다이는 선복량이 100TEU 이상인 머스크 등 7개 외국 선사가 대형 컨테이너 선박을 보유하고 있지만 국적 선사는 대형선박 보유가 그만큼 적다는 뜻이다.

프랑스의 글로벌 해운 조사기관인 ‘알파 라이너’가 선복량 상위 30위까지 선사의 선복량을 조사한 결과 한국은 2016년 점유율 6.4%에서 2017 2.5%로 급격히 떨어졌다한국 해운업의 위상이 그만큼 추락한 것이다.

부산항 물동량이 증가하면서 한진해운 사태 초기에 피해를 봤던 부산지역의 선용품 업체와 협력업체 등은 현재 안정을 되찾거나 정상화된 분위기다.

한진해운의 자회사인 한진해운신항만㈜와의 도급계약으로 부산신항만 3터미널에서 야드 컨테이너 운송을 맡았던 C사와 S사의 장비기사 106명은 한진 사태 직후 뿔뿔이 흩어졌다. C회사의 한 본부장은 “도급계약이 해지돼 106명의 장비기사를 정리했지만지금 이들 인력은 재취업하거나 직종을 바꿔 취업했고일부는 항운노조에서 일용직으로 일한다”고 말했다한진 사태 초기 2~3개월 어려움을 겪던 C, S 두 회사는 물동량 회복으로 다른 업체와의 도급계약으로 영업을 계속하고 있다.

 

한진해운의 자회사로 신항만 3터미널을 담당하던 한진해운신항만㈜는 주주사가 ㈜한진으로 바뀌면서 한진부산컨테이너터미널㈜(HJNC)로 이름이 바뀌었다이 회사는 한진해운신항만㈜의 중기(重機)와 야드 트랙터통제실 직원을 통합하면서 정규직 직원이 55명에서 380명으로 늘었다. HJNC의 한 팀장은 “한진해운과 직접 도급계약을 한 선용품업체와 접안 때 배를 끌어주는 ‘라인핸들링’ 업체 등이 다른 선사를 잡지 못했다면 없어졌거나 매출 규모가 줄었겠지만 다른 터미널 관련업체는 피해가 대부분 회복됐다”고 말했다.

한진해운의 선원들도 대부분 재취업하거나 이직한 상태다한진해운 해상직원 노조에 따르면 법정관리 신청 당시 한진해운이 직접 관리한 58척의 선박에서 근무하던 한국인 선원은 675명이었다이들은 지난해 10월 일괄해고된 뒤 한진해운의 미주·아시아 노선을 인수한 SM상선범진상운, SK해운 같은 선사나 선박관리회사 등에 재취업했다재취업하지 않은 선원들은 육상의 다른 직종에 취업을 하거나 취업을 준비하고 있다는 게 노조의 설명이다.

하지만 일반소모품기계·부속품주·부식기호식품 등을 납품하는 부산지역 선용품업체는 여전히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한국선용품산업협회 이의두 상무는 “한진해운 사태 초기 일부 업체가 피해를 보기도 했지만지금은 안정을 되찾았다”면서 “하지만 물동량 증가에도 국내 해운·조선업의 경기 침체로 선용품 업체는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국내 선용품 업체는 1400~1500개로 추산되지만 실제 영업중인 업체는 500~600여개로 알려졌다이들 영업 중인 업체는 대부분 영세해 협회에서 정확한 매출규모를 잡지 못하고 있다다만 연간 매출 8000억원 정도로 추산하고 있을 뿐이다.

부산에서 선용품 업체를 운영하는 김영득 회장은 “한진해운으로 회사가 직접 피해를 본 건 없지만국내 해운업이 추락하면서 자국에서 선용품을 받는 외국선사가 많아지고 있는데다 중국이 품질·가격 경쟁력으로 급속도로 따라 오고 있어 국내 선용품 업계는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국적선사의 추락으로 국내 수출업체의 운임 부담은 커지고 있다고 한다한진해운이 담당했던 미주라인의 경우 운임료가 70~80%로 상승했다는 것이다한 해운업체 관계자는 “외국선사의 운송료가 올라가면 그만큼 국내 화주와 수출업체의 부담이 늘어난다”고 설명했다.

 

한진 사태 1년을 맞아 부산지역 업계와 시민단체는 한진 사태의 국정조사를 요구하고 나섰다부산항을 사랑하는 시민모임,부산항 발전협의회,부산경제살리기 시민연대 등은 지난 22일 성명서에서 “한진해운 사태는 해운 특성을 모르고 오직 금융논리만 고집해온 금융당국자의 무능,채권단의 책임회피,해양수산부 관료들의 무책임정부의 오판이 부를 해운 대참사이지만 아직도 책임지고 물러나는 이가 한 명도 없다”며 “지금이라도 한진해운 파산의 진실규명과 향후 다시는 이런 오판이 되풀이 되지 않기 위해 문재인 대통령에게 국정조사를 강력히 요구한다”고 밝혔다.

이들 단체는 해운·조선 정택조직체계의 해수부 일원화,세계 5위 해운강국을 위한 실질적인 비전과 전략제시한진해운을 대체할 강력한 국적선사 육성방안 제시 등을 정부에 요구했다.

이들 단체는 31일 부산항국제여객터미널에서 한진 사태 1년을 맞아 부산항의 새로운 도약을 모색하기 위한 토론회를 연다토론회에서는 고병욱 KMI전문연구원이 ‘한진해운 사태 원인분석 및 한국해운의 발전과제’,이동현 평택대학교 교수가 ‘한진 사태 이후 부산항의 새로운 도약’의 주제 발표를 한다.해양수산부 엄기두 국장부산시 송양호 국장,부산항발전협의회 이승규 공동대표 등이 토론자로 나선다.

(중앙일보 2017.08.31.)

 

3. ·평택항만 신규항로 개설 본격 논의

경기도와 경기평택항만공사는 30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선사 물류기업 관계자를 대상으로 평택항 항로 활성화를 위한 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번 설명회는 선사와 일본 물류기업을 대상으로 일본 물류업계의 주요 동향을 청취하고 신규항로 개설 통한 물류비 절감효과 등 평택항 활성화 관련 의견을 공유했다.또한 항로개설 및 화물유치 인센티브 제도를 소개하며 적극적인 이용을 당부했다.

 

경기도와 경기평택항만공사는 평택~일본 간 신규항로 개설을 위해 평택항 인근 산업단지를 중심으로 도내 수출입기업 대상 일본 수출입 물량을 조사하고일본 현지 관계기관을 방문해 신규항로 개설을 위한 교류를 이어나가고 있다.

 

이날 설명회에는 장금상선남성해운고려해운천경해운태영상선팬오션범주해운 등 선사 관계자와 한국히타치물류포맨해운항공 등 물류기업과 한국국제물류협회평택항 컨테이너 부두 운영사인 평택컨테이너터미날(PCTC), 평택항신컨테이너터미널(PNCT) 관계자 등 30여명이 참석했다.

 

한편지난 6월 남경필 경기도지사가 일본 아이치현을 방문해 경기도아이치현경기평택항만공사나고야항만관리조합이 함께하는 ‘평택~나고야항 간 신항로 개설 협의체구성을 제안한 바 있다.

 

경기도와 경기평택항만공사는 9 12일부터 15일까지 일본 아이치현도쿄 현지 마케팅을 통해 일본 항로 개설에 박차를 가한다는 계획이다.

(쉬핑데일리 2017.08.30.)

 

4.  대통령 "해운-조선업 연계위해 해수-산업부 협의체계 구축"

[the300]해수부 업무보고두 산업에 "구조조정하든 경기 살리든 연계를"

문재인 대통령은 30 "해운업과 조선업은 구조조정을 하더라도 연계해야 하고경기를 살리면서도 서로 연계할 필요가 있다" "해운업은 해수부로조선업은 산자부로 소관이 나뉘어 있어도 해운과 조선의 상생을 위해 산자부와 협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문 대통령은 정부세종청사에서 이날 오후 4시 농식품부 해양수산부 핵심정책토의(업무보고)를 열고 이같이 말했다.

 

문 대통령은 "해운산업은 우리가 충분히 역량을 가지고 있는 분야이지만지금 과거 어느 때보다 어려운 상황"이라며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해운과 조선 간의 상생 등 새로운 성장 도약을 통해 경쟁력을 회복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바다를 책임지는 해수부는 지금보다 미래가 더 중요한 부처"라며 "지도를 뒤집어 보면 우리 앞에 아주 광활한 바다가 놓여 있다바다가 우리의 자원이고 국력이고 미래"라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바다는 안보이고경제이며 민생"이라고도 했다이어 "주변국의 해양영토 침범과 외국어선의 불법조업을 단호하고 강력히 대응해 바다와 자원을 지켜야 할 것"이라며 "해양경찰이 해수부 외청으로 재출범한 만큼 두 기관이 협력하여 영토지킴이민생지킴이가 되어야 할 것"이라 당부했다수산업 진흥과 육성도 당부했다.

(the300 2017.08.30.)

 

5. “해운 르네상스를 꿈꾼다”…머리 맞댄 해운업계·학계

한진해운 법정관리 사태 1국회에서 세미나 열려

"어떤 상황에서도 정시 운송할 수 있는 장치 필요…

몸집 키우려면 현대상선-SM상선 합병 고려해야"

아시아투데이 안소연 기자 = 한진해운 법정관리 1년을 맞아 해운업계·법학계가 사태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는 세미나를 열었다이 자리에서는 정기선사의 법정관리와 무관하게 운송이 제대로 될 수 있도록 하역비지급담보 기금제도가 운영돼야 하며추후 세계 해운 업계 규모의 경제 추세에 대응하기 위해서라도 현대상선과 SM상선의 합병을 검토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30일 서울 여의도 국회의원회관에서 고려대 해상법연구센터·인천항만공사가 주최한 ‘한진해운 사태 1주년법적쟁점과 도약방안’에서는 지난해 법정관리 후 발발한 물류대란과 이후 해운업계의 문제점을 짚는 발표가 진행됐다.

 

김인현 고려대 교수는 한진해운 사태가 정기 선사 전체에 대한 신용하락으로 이어진 점을 지적하며 법정관리와 관계없이 ‘정시성’이 깨지지 않도록 국내법에서 보호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교수는 “화주를 보호하기 위해 하역비지급담보 기금제도를 운영하고 계약 운송인의 이행보증보험이나 책임 보험 금액 1억원을 대폭 인상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상식 현대상선 컨테이너기획본부장은 “미주·북유럽 항로의 경쟁력을 강화하려면 초대형선을 확보해야 한다”면서 “100TEU급 선대 확보가 필요하며 환경 규제 강화 추세에 대응할 수 있는 선대를 구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선사 간 인수합병(M&A)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제기됐다현재 세계 해운업계는 M&A를 통해 숫자는 줄여가되 몸집을 키워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있다한국은 M&A가 아닌 한 선사를 날린 결과를 낳았기 때문에 그동안 인수합병에 대해 언급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이환구 흥아해운 부사장은 한진해운과 현대상선이 합병하지 못한 이유로 “해운·금융 정책당국의 정책이 미흡했다”고 꼬집으며향후 현대상선과 SM상선이 통합하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세미나에서는 해운업이 발전하려면 선사 간의 협력 뿐 아니라 조선·금융·항만 업계가 상생하는 체제가 구축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정부는 해운 인프라 지원 정책을 체계적으로 운영하되 항만은 국적선사와의 공조 체계를 강화해야 하며국적선사과 국적조선소의 선박 발주 체계도 구축돼야 한다는 구상이 제시됐다또한 화주들에게는 국적선사 이용시 혜택을 부여해야 하며금융기관이 직접 선박에 투자해 조선 해운기업과 이익 및 리스크를 공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됐다.

 

참석자들은 공통적으로 ‘한진해운 법정관리는 큰 실수였다’고 비판하며현 정부가 해운·조선업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않으면 위기를 기회로 만들 수 없다고 촉구했다.

(아시아투데이 2017.08.30.)

 

6. 해수부 예산해운 재건 강화 vs 항만 건설 축소

내년 49464억 편성…해운예산 511억 늘어난 4228

해양수산부는 2018년도 예산(기금 포함) 49464억원으로 편성했다고 30일 밝혔다.

해수부는 한진해운 파산연근해 어업 생산량 축소 등 해양수산업의 위기를 극복하고 미래성장 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해수부 소관 국정과제 내 사업 예산들이 반영된 결과라고 설명했다.

특히 새 정부 국정철학에 맞춰 어업인 복지일자리 창출안전 등 사람에 대한 투자도 확대했다.

예산 전체 규모는 올해의 49764억원에 비해 300억원(0.6%) 감소했다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감축 기조에 따라 교통물류 분야 예산이 올해보다 479억원(2%) 감소한 23869억원으로 편성됐다.

세부적으로 항만이 13890억원에서 12793억원으로 1097억원(7.9%) 줄었다반면 해운해사는 올해 3717억원에서 내년 4228억원으로 511억원(13.7%), 물류는 6741억원에서 6848억원으로 107억원(1.6%) 늘어났다.

해양환경분야는 132억원 늘어난 2402억원수산분야는 27억원 늘어난 21235억원과학기술분야는 21억원 늘어난 1958억원이 편성됐다.

해수부는 해운산업 재건과 항만 경쟁력 확보 등 ‘해운강국 건설’을 중점 투자 대상으로 정했다.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한진해운 파산 등으로 어려움에 빠진 해운산업을 재건하기 위해 한국해양진흥공사 설립 자본금 1000억원을 출자하고 친환경 고효율 선박 건조를 지원하기 위해 선박 5t(총톤수) 43억원의 폐선보조금을 책정했다.

또 해운조선 상생협력체계 구축을 위한 공공선박 건조 예산으로 1884억원이 편성됐다어업지도선 항만청소선 등 24척이 국내 조선소에 발주될 예정이다.

해사고 학생 승선훈련을 위한 실습선 신조(설계 10억원), 종합비상훈련장 건립(50억원등 해사 전문인력 양성 지원금도 예산에 반영됐다.

대형선박이 안전하게 통항할 수 있도록 항로 개선사업 투자도 강화된다부산항 신항 토도제거 예산이 676억원에서 내년 810억원으로 늘어나고 광양항 항로준설 비용45억원이 새롭게 편성됐다.

항만을 신해양산업 공간으로 재창조하기 위한 해양산업 클러스터와 영종도 매립지 재개발 예산이 각각 10억원 67억원 편성됐다올해의 3억원 56억원에서 늘어났다.

내년 마무리되는 부산 동삼동 국제 크루즈부두 확장 사업비 83억원이 책정됐다공사가 마무리되면 선박 수용능력은 8t에서 22t으로 대폭 늘어난다개장을 앞두고 있는 제주 서귀포 크루즈터미널과 선용품 지원센터에도 53억원과 18억원이 편성됐다.

연안여객선 현대화 지원도 확대된다현대화펀드가 250억원에서 300억원이자 차액 보전금이 76억원에서 86억원으로 각각 늘어났다또 기존 27개 국가보조항로 외에 추가로 10개의 적자 접경지역 항로까지 운영비를 지원하는 예산 24억원이 편성됐다.

해양환경 보전해양의 생태적 가치 제고 등 ‘깨끗하고 쾌적한 우리 바다 만들기’ 예산도 확대된다.

해수부는 2007 <허베이스피리트>호 사고와 같은 대형 해양오염사고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5000t급 다목적 대형방제선을 건조할 계획이다당시 파도 높이 4m이상일 때 발효되는 풍랑주의보로 중소형 방제선이 출항을 못해 초동방제에 실패했다는 지적이 나왔다방제선 설계 비용 22억원이 내년 예산에 포함됐다.

아울러 경기만에 이어 여수 통영 인근 수역에 대한 해양공간계획을 수립(13억→16억원)하고 바다모래 채취가 해양수산자원 등에 미치는 영향 조사(신규 17억원)도 진행할 계획이다갯끈풀 등 유해 해양생물 제거를 통한 서식처 개선 사업 예산도 33억원에서 40억원으로 늘어났다.

해수부는 섬 관리를 강화해 해양주권 수호역량을 확대하고 연안여객선 안전 강화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독도가 우리 고유 영토임을 증명하는 과학적 증빙자료를 지속적으로 확보하고 영해기점 영구시설물 설치도 9개소에서 11개소로 확대한다.

중국어선 불법어업 단속을 위해 1500t급 어업지도선 4척을 신규로 투입하고해양경비 시설도 지속 확충한다내년 완공되는 완도항 해경부두 사업비가 167억원으로 늘어나고 용기포항 착공 사업비가 25억원 책정됐다.

해수부는 침수에 대응하기 위해 연안정비사업 예산을 670억원으로 늘렸다또 태풍·지진 등 재난 대비해 재해안전항만 예산을 874억원으로 2배 이상 확대하고 항만유지보수 비용 1275억원을 신규 편성했다.

4차 산업혁명 대응 예산도 눈에 띈다해양수산 신산업을 육성하고 일자리 창출 기반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액화천연가스(LNG) 벙커링 핵심기술 개발 예산 31억원이 신규 편성됐고 파력발전 실해역 시험장 예산이 45억원에서 64억원으로 증액됐다수중광역이동통신(18억→27억원), 수중관측제어망(20억→40억원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통신기반 구축 사업도 강화된다.

이밖에 연구개발(R&D) 성과가 창업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통합 창업보육 프로그램 운영 예산 9억원이 신규로 편성됐다중소벤처기업 지원기술사업화 예산은 각각 64억원 76억원으로 늘어났다.

해수부는 ‘풍요로운 어장’을 만들기 위해 수산자원 관리수산업의 미래산업화와 어업인 삶의 질 제고 등에도 재정 지원을 강화했다바다 되살리기를 위해 바다목장 바다숲 조성(450억원유실어구 수거(76억원), 생분해성 어구 보급(52억원등이 내년 예산 증액 항목에 올랐다.

또 빅데이터 기반 수산자원 관리기술을 개발하고휴어제의 타당성 등 연근해 자원회복정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연구를 실시한다수산자원변동 예측기술 예산38억원), 연근해 자원회복정책 연구 예산 5억원 등이 신규 책정됐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08.30.)

 

7. 컨 해운전세계를 연결하는 접착제

컨테이너 해운은 전세계 경제를 변화시키며전세계 생산자와 소비자 사이에서 다양한 종류의 많은 상품을 낮은 단가의 비용으로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접착제”로 종종 생각되곤 한다.

 

따라서전세계 화물 운송 시스템에서 컨테이너 항만과 터미널은 중요한 교점이며그들의 숫자와 편재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다.

컨테이너 해운은 1956년도에 최초의 컨테이너 선박인 "Ideal-X"(1956 4 26일 미국의 무역상인 Malcolm McLean이 유조선을 개조하여 만든 선박으로서최초로 컨테이너를 선적한 선박임)가 처음으로 항해를 시작한 이후에 먼 길을 왔으며현재 거의 전세계 곳곳은 컨테이너 운송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되어 있다.

 

오늘날 이루어지고 있는 컨테이너 해운 서비스의 범위를 보면이같은 현상은 매우 분명해 보인다.

 

컨테이너 선박들이 1년동안 기항하는 항구들(자세한 내용은 그래프 설명 참조)을 살펴보면전세계에 컨테이너 선박들이 정기적으로 기항하는 항구 수는 873(비정기선의 항만 기항을 포함하면 이 숫자는 더 커질수 있음)에 달함을 알 수 있다.

 

그리고이들 항구들은 총 141개국에 분포되어 있으며연간 기준으로 총 56만회 이상의 항구 기항을 하고 있다참으로 아주 끈적 끈적한 접착제이다.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경우 전체 항구 숫자의 42%그리고 전체 기항 횟수(그래프 참조) 60%를 차지하며중국은 단독으로 전체 기항 횟수의 19%를 차지한다이는 이지역의 급속한 경제 발전생산의 아웃 소싱그리고 상품의 다양한 지역에서의 처리가 아시아를 컨테이너 해운업계의 중심에 견고하게 올려 놓았다.

 

그리고유럽이 그 다음으로 큰 지역으로서전체 항구 숫자의 28%와 전체 기항 횟수의 21%를 차지하며미주와 아프리카가 그 뒤를 잇는다.

이를 더 자세히 분석해 보면상당히 제한된 숫자의 항구들의 전체 활동의 상당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기항 횟수 기준으로 상위 50개 컨테이너 항구들이 총 기항 횟수의 47%를 차지했으며상위 10개 항구들이 22%를 차지했다.

 

이들은 종종 주요 지역의 허브 또는 주요 항구로서의 역할을 한다홍콩싱가포르부산 및 상해를 필두로모두 118개의 항구들에 컨테이너 선박들이 1년에 1,000 회 이상 기항을 했다또한주요 항구들의 경우 대부분의 대형 선박들이 기항을 했다.

 

15,000 TEU급 이상의 컨테이너 선박들이 기항한 69개의 항구들중에서, 44개 항구가 기항의 횟수 기준으로 상위 100대 항구에 랭크되어 있다.

 

하지만컨테이너 선박들이 기항한 항구별 기항 횟수 분포도를 살펴보면 매우 다양하다. (삽입한 그래프 참조). 항구의 65%는 하루에 1회 미만의 기항을 받았으며항구의 44% 3,000 TEU급 이하의 선박 외에는 기항을 받지 못했고, 13% 1,000 TEU급 이상의 선박 기항을 받지 못했다.

그리고이글의 후반부는 작은 선박들을 기반으로 하는 역내 및 피더 네트워크의 밀도와오늘날의 컨테이너 해운 시스템이 전체 세계를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지를 보여준다.

 

초점은 아시아 중심일 수 있고주요 컨테이너 항구들이 대형 선박 분야를 지배하겠지만수면 아래에는 엄청난 양의 글로벌 상호 연결성이 있다그리고당신이 세계 어디에 있더라도컨테이너 항구로부터 절대로 멀지 않다는 것은 사실이다.

(쉬핑데일리 2017.08.30.)

 

8. 파나마 운하 통행료 할인선사 호응 없을 듯

해운 컨설팅 업체인 드류리는 파나마 운하 당국(ACP) 10 1일부터 남항을 통과하는 새로운 파나막스 선박에 대한 통행료를 낮추는 조치가 즉각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을지 여부에 대해 의구심을 갖고 있다고 밝혔다.

 

ACP는 현재 파나마 운하를 경유하여 회항하지 않는 6개의 아시아-미국 동해안간 운항 서비스를 유치하기 위하여 재정적 인센티브를 제공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London Loadstar는 전했다.

 

변함없는 북항 관세를 하회하는 새로운 관세 수준인 TEU  10-15달러는 6000TEU급 이상의 컨테이너 선박들에만 적용될 예정이다그리고통행료 할인을 받기 위해서는 선박이 적어도 최대 용량 중 70% 정도를 헤드헐 운항으로 수송해야 하며, 28일 내 왕복 운항을 마쳐야 한다.

 

드류리는 현재 평균 선박의 크기는 6900TEU로 파나마 운하를 경유해 왕복운항 하는 8개 서비스에 대해 운항 당 3만 달러가 절감될 수 있을 것이고이들 80척의 선박들은 현재 통행 구조 속에서 1300만 달러에 달하는 누적 할인을 받게 될 것이라고 추산하고 있다.

 

그러나이집트 정부는 현재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컨테이너 선박들에 대하여 상당 폭의 할인을 실시했다더 많은 영업활동을 통하여 2016년도에 3.2%까지 감소했던 매출액이 50억 달러까지 늘었다.

 

그리고벙커 연료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기 때문에, ACP가 제시한 할인율이 희망봉을 경유하여 운항하고자 하는 선사들을 유치할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드류리는 ACP의 매출액은 증가할 것으로 보고 있다다만이는 항로 재설정 보다는 확장된 수문을 통과하는 대형 선박들의 배치가 점진적으로 증가할 것이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드류리는 “올해 우리는 정기 선사들의 항로 설정 계획이 크게 변경될 것으로는 예상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쉬핑데일리 2017.08.30.)

 

9. Hapag-Lloyd Plans No Ship Orders, UASC Fleet Enough

Hapag-Lloyd has revealed that it has no plans to follow CMA CGM and MSC and build new 22,000 TEU containerships after reporting strong second quarter earnings.

 

The German container shipping line, which is the fifth largest operator by vessel market share, expects the addition of its new fleet from the United Arab Shipping Company (UASC) merger to result in lower levels of investment in the future.

 

Rolf Habben Jansen, Chief Executive of Hapag-Lloyd, has revealed that the company will be saving $435 million annually from 2019 onward and has no vessel investments planned for the next few years, with a focus instead on cash flows.

 

The savings will build upon progress made in the second quarter as Hapag-Lloyd has returned to profit, helped by an uptick in transport volume and higher freight rates.

 

In its investor report, Hapag-Lloyd stated: "Following the completed takeover of UASCs container shipping activities, Hapag-Lloyd will not invest in new ship systems in the next few years.

 

The joint fleet should make it possible to utilise the medium-term expansion opportunities resulting from market growth and to realise economies of scale in ship operations.

 

Trade Winds recently revealed that MSC is planning an order with Samsung Heavy Industries for up to six 22,000 TEU vessels and a further five from DSME.

 

Its also been reported that two Chinese shipyards have won CMA CGMs order for nine vessels of the same size.

 

Hapag-Lloyd's net profit for the quarter ended June 30, 2017, at US$17.2 million, compared with a $119 million loss a year earlier.

 

Revenue has also increased by 28% to $2.85 billion, boosted by Hapag-Lloyd's merger with UASC in May.

 

In an interview with Reuters, Jansen said that the company may pay a dividend for the current year if its earnings continue along the trend seen in the first half of the year.

 

Jansen said: "If we were to write a positive (net) result by the end of the year, we would seriously think about a dividend payment for 2017.

 

"The market environment has improved somewhat, costs are under control and demand is developing well.

(Port technology 2017.08.30.)

 

10. US Container Ports Escape Trump Agenda

Six of the largest US Ports have smashed monthly records for container throughput in the past year as Trumps protectionist trade agenda goes undelivered, according to the Financial Times.

 

Trump had promised to cut the US trade deficit, ordering a report on the matter to be issued by the Secretary of Commerce by June 29, 2017, however the trade deficit continues to grow.

 

Reports note a 10.7% rise in the US goods and services trade deficit in the first six months of 2017 over the first six months of 2016.

 

Both US exports and imports had increased over 6% over the same period, included among the growing cargo was US$20 billion more in imports from China.

 

At the port of New York and New Jersey, Bethann Rooney, its assistant director for strategy and innovation, said August had been a strong month.

 

Port of Charleston, South Carolina recorded a record container throughput in March, with traffic up 12.8%

 

Prior to shutting down for storm Harvey this month, Port of Houston container volumes had risen 12.7% this year through July.

 

Long Beach Port in July recorded a record high volume, and 16.3% increase in imports.

 

Retailers are still preparing for a busy holiday season.

 

American freight forwarder Flexport has observed freight rate increases in its market update, and predicted higher throughput in coming months for ports serving Asia  US East/US West coast routes.

 

August is set to be the busiest month ever for US container ports, according National Retail Federation and Hackett Associates.

(Port technology 2017.08.30.)

 

첨부파일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