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현대상선

DAILY NEWS_ 2018.2.21 (수)

18-03-02

본문

 

DAILY NEWS_ 2018.2.21 (수) 

 

1.  크루즈 3내년 상반기 인천항 온다

인천관광공사 등 기항 성사 "포트 세일즈 거점 삼을 것"

인천관광공사는 인천항만공사한국관광공사와 함께 지난 16~19일 영국 현지에서 진행한 '세일즈 마케팅'에서 내년 3~4월 영국 크루즈선 3척의 인천항 기항을 성사시켰다고 20일 밝혔다.

 

한국관광공사 런던지사가 주관한 이번 세일즈 마케팅에는 지자체 중 유일하게 인천이 공동으로 참가했다.

 

내년에 인천항으로 들어올 크루즈는 영국 크루즈 운영사 2곳인큐나드의 15t '퀸메리2(Queen Mary2)'와 오세아니아의 3t '노티카(Nautica)', '인시그니아(Insignia)'. '퀸메리호'의 승선인원은 4400, '노티카호' '인시그니아호'는 각각 1천여 명이다.

 

이들 크루즈는 영국에서 출발해 유럽 각지에서 관광객을 싣고항해 일정 중 내년 3월 개장할 예정인 인천항 크루즈 전용 터미널로 입항할 전망이다.

인천관광공사는 송도국제도시월미도개항장강화도 등 인천 주요 관광지를 중심으로 영국발 크루즈 관광객들의 관광코스를 짤 계획이다.

 

특히 소형이지만 최고급 크루즈선인 '노티카호' '인시그니아호'는 인천항과 일본 오키나와를 저울질하던 중 한국 측의 방문 마케팅으로 인천을 기항지로 선정했다고 인천관광공사는 설명했다.

 

인천관광공사와 인천항만공사는 이번 영국 크루즈 세일즈 마케팅을 계기로 인천항 크루즈 기항의 유럽시장 진출을 계속 추진하기로 했다인천관광공사 관계자는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영국을 인천항 해외 포트세일즈의 주요 거점으로 삼겠다" "앞으로도 해외시장 다변화를 위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펼치겠다"고 말했다.

(경인일보 2018.02.21.)

 

2. “한 터미널처럼 부산신항 운영하는 방안 찾겠다”

인터뷰부산항만공사 우예종 사장

터미널간 협력 안돼 연 200억 물류비 발생

올해 물동량 목표 5% 늘어난 2150TEU

(부산신항은 작년에 체선이 160척이었다체선이 왜 생기는지를 분석해서 정부 부산시와 같이 풀지 않으면 허울만 좋은 부산항이 될 수 있다.

부산항만공사(BPA) 우예종 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점차 부각되고 있는 부산신항의 체선 문제와 물류비 상승을 얘기하면서 터미널 통합 운영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신항 체선은 2015 100 2016 120척 지난해 160척으로 증가 추세다. BPA 2-4단계가 2020년 출범하기 전까지 계속 늘어날 걸로 보고 있다현재 운영되고 있는 5곳의 신항 터미널이 연근해를 오가는 소형선박을 기피하고 대형선 위주로 정박시키면서 빚어지는 현상이다근해선박들이 선석을 찾지 못해 우왕좌왕하면서 대형선박까지 함께 정체되는 악순환이 되풀이 되고 있다.

“빈 부두가 있어도 꽉 차 있는 계약부두에서 화물을 하역하려고 한다빈 터미널에서 처리하면 컨테이너를 다시 이송을 해야하는 데 비용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이다터미널 간 화물을 이동(ITT)하는 데 드는 물류비가 연간 200억원을 넘는다선박들이 계약부두에서 계속 기다리거나 부두 밖에서부터 천천히 들어오는 식으로 스케줄을 맞추려고 해 체선이 발생하고 있다.

2-5·2-6단계 경쟁력 높여 다른 부두 협력 끌어내

BPA ITT 비용을 줄이고 체선을 개선하기 위해 신항 터미널을 하나의 부두처럼 운영하는 방법을 모색할 계획이다서컨테이너부두에 들어설 2-5단계와 2-6단계 터미널과 피더부두가 부두 통합운영의 열쇠가 될 전망이다.

현재 건설 중인 2-5단계와 연내 착공 예정인 2-6단계 부두는 수심 20m, 야드 폭 600m로 다른 부두에 비해 경쟁력이 매우 높다. BPA는 야드를 800m까지 늘리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 중이다압도적인 하드웨어의 부두를 조성해 다른 터미널과 협조 체제를 만들겠다는 게 우 사장의 생각이다.

2-5단계 3선석은 2022, 2-6단계 2단계는 2024년에 각각 개장한다앞서 현대산업개발이 민자로 짓고 있는 2-4단계가 2021년에 문을 연다정부에서 당초 계획한 신항 터미널 30선석이 모두 운영에 들어가게 된다.

(2-6단계까지 완공되면최종적으로 7개 터미널 운영사가 생긴다. 200억원을 훨씬 웃도는 물류비가 터미널 내에서 발생하게 되는 거지. 2-5단계 2-6단계 5선석과 (2-5단계와 이웃한피더부두 2선석 등 7선석을 활용해 부산신항이 실질적으로 7개 터미널이지만 하나의 터미널처럼 운영해 나가려고 한다정부와 직접 계약한 민자부두의 경우 공사가 개입할 수 있는 여지가 없다한진해운 사태 땐 하역을 거부하기도 했다이런 모순을 해결하기 위해 강력한 수단을 빨리 강구해야 한다.

연장선상에서 다목적부두를 한국해운연합(KSP)와 협상해 컨테이너부두로 기능전환하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다목적부두를 근해선박들이 활용토록 함으로써 체선을 완화하고 신항의 환적기능을 강화한다는 취지다. 29일 현재 시험운항선박 2차선이 다목적부두에 입항해 하역을 마쳤다.

우 사장은 물동량 목표치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BPA는 올해 목표를 컨테이너 2150TEU로 정했다지난해의 2047TEU에서 5% 가량 늘어난 숫자다수출입화물은 2.2%증가한 10407000TEU로 잡았다수입은 2.7% 늘어난 5178000TEU, 수출은 1.8% 늘어난 5229000TEU올해 예상치가 그대로 반영됐다.

 

반면 환적화물은 전망치보다 훨씬 많은 물동량을 목표로 정했다. 8.6% 늘어난 11093000TEU올해 전망치로 제시된 10332000TEU보다 76TEU 많다터미널과 선사들은 6.5% 늘어난 1088TEU, 3% 늘어난 1061TEU를 각각 예상했다.

BPA는 올해 목표 달성을 위해 올해 4월 본격 출범하는 일본 통합선사인 ONE을 중심으로 얼라이언스별 맞춤 마케팅을 실시할 예정이다아울러 베트남 태국 이란을 비롯해 중국 동북2(헤이룽장성 지린성)의 환적화물 유치에 힘을 기울일 예정이다.

북항 통합 연내 마무리

우 사장은 북항재개발 계획도 전했다올해 부산항 대교 바깥쪽에 위치한 신선대 감만 신감만 부두를 연내 단일 운영사로 통합해 자생력을 회복하고 연근해선사 중심 항만으로 육성한다는 전략이다. 2019 6월 계약 만료 예정인 자성대부두의 폐쇄시기는 물동량 예측을 통해 탄력적으로 결정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북항 통합사 지분을 작년 초 구입하려고 했는데 기재부의 여러 논리에 가로막혀 아직 불입이 안 돼서 북항 안정화에 지장이 발생하고 있다통합이 마무리 되면 동남아항로 개설 등으로 700TEU 이상을 처리하는 항만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700TEU는 세계 22위 규모다.

운영사 통합으로 발생된 유휴부두와 민간장치장은 재개발사업과 연계해 슬럼화된 지역에 활력을 부여하는 공간으로 재창조한다는 바람을 나타냈다우암과 7부두를 주민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친수공간으로 조성하는 그랜드디자인을 올해 하반기에 완성할 예정이다.

 

현재 해양산업클러스터법 시행으로 정부에서 우암부두를 해양플랜트산업단지로 개발을 추진하고 있지만 인근 주민들이 소음과 분진 유발업종 유치에 난색을 표하고 있다.

해양관광산업 육성 전략도 소개했다. BPA는 부산 전역을 연결하는 5대 테마별 연안해양관광노선을 개발하고 영도 국제크루즈부두에 국제카페리노선을 유치할 계획이다.

 

“연안해양관광이 BPA의 업무란 생각은 확고하다올해 상반기 시설 개선이 마치는 옛 연안여객부두를 연안유람선의 모항기지로 삼아 송도 태종대 해운대 광안리 낙동강하구를 잇는 5대 테마별 관광노선을 선정해 연안유람선이 운항할 수 있도록 할 생각이다또 영도 국제크루즈부두가 안벽공사를 마치고 올해 9월 개장하면 부산-제주 부산-상하이 등 연안크루즈와 국제카페리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겠다.

우 사장은 끝으로 신항 배후부지에 전자상거래나 콜드체인 등의 유통기업을 유치해 화물을 늘리고 일자리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기존의 1층 창고형이 아닌 빌딩형 물류창고를 지어서 임대사업자를 다수 모집하는 방식으로 물류부지의 효율성과 부가가치를 높여 나간다는 구상이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2.20.)

 

3. 군산항 컨테이너 부두전산장애로 이틀째 마비

물량 대폭증가 입출하 업무 폭주

노후시설 정밀 진단 및 교체 시급

군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 운영사인 GCT(군산컨테이너터미널)가 급격하게 늘어난 물량을 처리하던 전산시스템의 과부하로 추정되는 시스템 정지사고로 이틀째 컨테이너 출하가 되지 못하고 있다.

 

20일 군산항의 물류 관계자들에 따르면 설날연휴 전까지 정상 운영되었던 GCT의 전산 장치가 말을 듣지 않아 긴급 수리에 나섰고 이날 현재까지 컨테이너 입출고 업무가 마비 상태이다.

 

이로 인해 군산항을 통하여 원재료 등을 공급 받아 온 전남과 충남 등 기업체들과 운송 업체들의 피해가 확산되는 등 파장이 만만치 않다.

 

물류회사의 한 관계자는 “오늘 중에 20FT 컨테이너 기준으로 20여개가 반출되어야 하는데전산이 안되어 대기 중”이라면서“화주들과 운송업체들의 물류 피해가 예상되지만 전산이 제대로 돌아갈 때만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GCT 장치장에는 컨테이너를 실으려고 대기 중인 트레일러가 늘어서 있으며반출이 늦어지면서 화주와 물류회사 관계자들이 모여 대책을 논의하고 있다.

 

GCT의 김철성 대표는 “지난 2004년 출범 당시에 시설된 전산 장치를 그동안 계속 보수하면서 이용해 왔으나 최근 급격하게 물량이 늘어나면서 업무 과부하로 전산 장애가 일어난 것 같다.”고 했다.

 

또 “이번 일시적인 전산 장애로 인한 컨테이너 부두의 전면 마비 사태에 대한 심각성을 감안하여 긴급 복구와 함께 모든 전산 시스템에 대한 정밀 점검으로 전면 교체도 검토할 것” 이라고 말했다.

 

군산항 컨테이너 전용부두의 반출입 실적이 크게 늘어났고 장치장에서 화물별로 분류했다가 내주는 등의 업무량도 폭주했다노후 전산 장치 문제가 컨테이너 전용부두 운영의 걸림돌로 지적되어왔다.

 

컨테이너 전용부두에는 지난 한 해동안 31288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가 드나들었다이는 그 전해의 2303TEU 대비 50%가 늘었고, 2013 12157TEU에 비해서는 무려 3배 가까이 대폭 증가했다.

 

지난해 2월과 8월에 각각 개설된 2개 항로(청도군산항 ~ 부산항연운항·위해군산부산)가 큰 역할을 하면서 GCT의 경영 정상화에 도움을 주었지만 노후 전산이 발목을 잡은 셈이다.

(새전북신문 2018.02.20.)

 

4. 평당항 자동차 물동량 2년째 감소…작년 128만대

평택·당진항(이하 평당항)의 자동차 수출입 물동량이 2015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지속하고 있다.

 

21일 경기평택항만공사에 따르면 2017년 평당항의 자동차 처리 물량은 1287409대로, 2016 133794대에 비해 3.7% 줄었다.

 

2015 1502883대 이후 2년 연속 감소세다.

 

이 같은 현상은 인근에 입지한 기아차쌍용차 등 완성차 업체들이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묶여 1980년대 이후 공장을 증설하지 못해 수출물량이 감소한 때문으로 풀이된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광양항을 자동차 환적항으로 키우기 위해 2019 6월부터 평당항의 자동차 환적화물 취급을 제한할 예정이어서 평당항의 자동차 물동량은 더 줄어들 전망이다.

 

평당항의 2017년 자동차 환적화물은 33175대로 전체 자동차 물동량의 26%를 차지하고 있다.

(연합뉴스 2018.02.21.)

 

5. "불황 파고 넘는 해운업디지털 엔진 달아야"

수출입 현황 실시간으로 확인…운송 중인 컨테이너 원격관리온도조절해 화물손실 방지도

시장상황 점차 나아지겠지만 소형선사 생존전략 모색해야

 

■ 팀 스미스 머스크차이나 회장

 

디지털화에 가장 보수적일 것 같은 해운업계가 4차 산업혁명과 블록체인 기술을 만나 새로운 변화의 물길을 열고 있다.

 

세계 최대 해운사인 덴마크 국적 머스크가 이런 변화의 선두에 섰다팀 스미스 머스크 북아시아 대표 겸 머스크차이나 회장은 최근 매일경제와 인터뷰하면서 블록체인 기술이 물류산업을 획기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고 말했다스미스 대표는 "디지털화는 모든 산업의 모습을 크게 변화시킬 것"이라며 "해운산업도 전자상거래 폭증과 블록체인 기술 도입 등으로 혁신이 이뤄지고 있다"고 말했다.

 

스미스 대표는 "머스크는 IBM과 제휴해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무역 전산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이 네트워크는 실시간으로 공급 현황을 관리하고 필요한 서류를 교환할 수 있게 한다" "이렇게 되면 수출입 과정이 혁신적으로 단축될 것"이라고 밝혔다.

 

머스크는 바다 위에 떠 있는 컨테이너 안의 화물 상태를 원격으로 체크할 수 있는 '원격 컨테이너 관리(RCM·Remote Container Management) 시스템'을 소개했다스미스 대표는 "RCM을 적용하면 컨테이너 데이터가 위성을 타고 육지에 있는 사무실로 실시간 전송된다" "컨테이너 안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원격으로 낮출 수 있고문제가 감지되면 선박에 있는 엔지니어에게 연락해 문제를 바로 해결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머스크 관계자는 "머스크의 RCM 냉장 컨테이너 서비스는 독보적인 차별화를 가져다준다" "특히 채소·과일 및 의약품 등 신선화물 운송에 획기적인 시스템"이라고 강조했다머스크는 2015년 냉장선 전체에 RCM을 적용했다. 2017년에는 4500건 이상의 냉장선 온도 설정 오류를 감지하고 수정해 최상의 화물 상태를 보존한 바 있다이 중 200개 이상의 오류는 만약 수정되지 않았더라면 수십억 원에 달하는 고객 화물 손실이 발생했을 것으로 조사됐다.

 

머스크가 이렇게 디지털화에 박차를 가하는 것은 해운업계가 최악의 불경기를 거쳐 회복기에 들어섰기 때문이기도 하다.

 

스미스 대표는 "한진해운이 무너졌을 때 해운시장은 변곡점에 있었다시장 상황이 최악의 바닥이었다" "하지만 그 후 시장이 회복됐다. 2018년은 2017년보다 낫고, 2019년은 2018년보다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사상 최악이었던 2016년 당시를 회고하며 "(최악의 상황에서 살아남는마술봉은 존재하지 않는다" "머스크와 한진해운의 결정적인 차이는 재무구조에 있었던 것 같다머스크의 재무구조가 상대적으로 더 단단해 오래 버틸 수 있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극심한 침체를 겪고 서서히 회복 중인 글로벌 해운시장은 머스크를 비롯해 MSC, CMA-CGM  '7' 체제로 재편됐다스미스 대표는 "살아남기 위해 많은 합종연횡이 있었다" "전 세계를 아우르는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거나 특정 시장·노선을 전문으로 하는 해운사만 살아남을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매일경제 & mk.co.kr 2018.02.20.)

 

6. 에버그린컨테이너선대 20척 확보 밑그림 나왔다

발주잔량 50TEU 돌파…글로벌선사 중 가장 많아

세계 6위 컨테이너 선사 에버그린이 11000TEU급 컨테이너선 20척 확보에 마침표를 찍었다.

 

20일 해운업계에 따르면 에버그린은 지난 8일 삼성중공업과 11000TEU급 컨테이너선 8척에 대한 건조계약을 체결했다이들 선박은 오는 2020년부터 순차적으로 인도될 예정이며척당 가격은 약 9430만달러( 1009억원수준이다.

 

에버그린은 신조 프로그램을 통해 물동량 수요를 충족하는 한편용선이 곧 만료되는 노령선 교체를 통해 선대 최적화에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에 발주한 선박은 길이 334m,  48.4m 규모의 ‘네오 파나막스’ 선박으로 파나마운하 통과에 최적화돼 있다선박평형수 처리장치와 삼성중공업이 개발한 프로펠러,러더 벌브 등 에너지 저감 장치가 장착되는 등 향후 시행되는 친환경 규제를 충족했다.

 

올 들어 에버그린은 11000TEU급 컨테이너선을 신조하기 위해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을 비롯해 대만 CSBC 일본 이마바리조선 재팬마린유나이티드 등과 신조 건조협상을 벌였다한국 대만 일본 조선소가 경합을 벌였지만 최종 건조계약은 삼성중공업이 따냈다.

 

이번 계약으로 에버그린과 삼성중공업간의 굳건한 신뢰관계가 다시 한 번 더 주목받고 있다에버그린은 지난 2010년 삼성중공업에 8000TEU급 컨테이너선 20척을 발주한 바 있다삼성중공업이 한 선주로부터 한 해에 20척의 선박을 무더기로 수주한 건 창립 36년 이래 최초였다.

 

에버그린은 나머지 12척에 대한 선박 확보도 마무리지었다에버그린은 이달 중순 일본 선주사인 쇼에이기센과 용선계약을 통해 11000TEU급 컨테이너선 12척을 도입하기로 결정했다.

 

이마바리조선소에서 지어지는 신조선은 2021년까지 순차적으로 완공될 예정이다선박은 길이 333.9m,  48.4m이며최고항해속도 23노트로 확장 파나마운하 통항에 최적화된 선형으로 평가받고 있다에버그린은 지난 2015년에도 쇼에이기센으로부터 18000TEU급 컨테이너선 11척을 용선한 바 있다.

 

한편 이번 선박 발주를 통해 에버그린은 발주잔량 50TEU를 돌파하게 됐다전 세계 해운사 중 가장 많은 수치다.

 

프랑스 해운분석기관인 알파라이너에 따르면 219일 현재 에버그린의 보유 선복량은 1072157TEU를 기록세계 6위에 자리하고 있다대만 해운사 양밍라인(8위·602402TEU) 완하이라인(15위·243962TEU) TS라인(22위·75206TEU) 중 가장 먼저 선복량 100TEU 시대를 열었다.

 

48(508332TEU)의 선박 인도를 마무리짓게 되면 독일 하파크로이트(1543598TEU)를 제치고 세계 5위 해운사로 올라서게 된다현재 하파크로이트의 발주잔량은 제로다.

(코리아쉬핑가제트 2018.02.20.)

 

7. 대한해운발레와 25년 장기운송계약 체결

대한해운은 20일 세계 최대 철광석 채광기업인 브라질 발레 25년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했다고 공시했다.

 

이번 계약은 대한해운이 지난 2013년말 SM그룹 편입 이후 해외 화주와 맺은 첫번째 대형 장기운송계약이다.

계약금액은 공시일 기준 총 6,497억원으로 2016년 연결매출액 대비 120.25%에 해당하는 규모이다계약기간은 2020 1월부터 2045 6월까지 약 25년간이며브라질에서 중국으로 철광석 수송을 위한 장기운송계약(COA; Contract of Affreightment)이다.

 

대한해운은 이번 계약에 투입할 2척의 32 5,000DWT급 초대형광탄선(VLOC; Very Large Ore Carrier)을 이미 지난해 현대중공업에 발주한 바 있다.

 

현재 대한해운은 포스코한국가스공사 등 총 33척의 전용선 계약을 보유중에 있으며지난해에도 한국가스공사와 20년 총 4,394억원의 LNG 장기운송계약을 체결하는 등 전용선 입찰 시장에서 꾸준한 수주 소식을 알리고 있다.

 

대한해운 관계자는 “수년간 드라이벌크 시황이 부진함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지속적으로 전용선 선대를 확장하며 회사의 안정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금번 발레와의전용선 계약을 토대로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추가적인 장기운송계약을 확보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며올해 드라이벌크 시황 개선이 예상됨에 따라 부정기선 사업부문도 시황에 탄력적으로 대응하며 확대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쉬핑데일리 2018.02.20.)

 

8. 자율 항해 컨선 불가능할 수도

전세계 최대의 해운 회사인 Maersk CEO Soren Skou는 그의 생애에 인간이 없는 컨테이너 선박의 운영은 가능하지 않을것 같다고 밝혔다.

 

선박 자동화를 위하여 A.P. Moller-Maersk A/S는 이미 선원의 규모를 충분하게 축소시켰다고 Soren Skou는 인터뷰를 통해서 밝혔으며그결과 노동력이 이제 바닥이며,선원수를 더 이상 제거할 여지는 없다고 밝혔다.

 

그는 “그리고항해 기술이 아무리 발전하더라도, 20만톤이고 길이가 4백미터에 달하는 초대형 컨테이너 선박이 선상에 배치된 인력없이 항해할 수 있을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그것이 내 생애에 실현될 것이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현재 전세계 컨테이너 선단에는 5,000척 이상의 선박이 있으며이들 선박들이 2,200TEU 정도를 운송할 수 있다고알파라이너는 추정했다.

 

그동안 선박들의 규모는 더 커졌지만효율성과 자동화로 인하여 선원수는 줄어 들었으며실제로 Maersk의 경우 컨테이너 선박들을 운영하는데 필요한 선원수가 20년전보다 절반 이하로 줄었다고 밝혔다.

 

계속해서, Skou "컨테이너 선박들이 훨씬 더 커질것 같지 않다"고 밝혔으며, "더 이상 선원수를 줄이는데 따르는 비용상의 이점이 거의 없다"고 밝혔고, "Maersk 사가 자율 항해 예인선을 자사의 Svitzer 예인 부분에서 개발했지만이같은 개념을 컨테이너 선박에는 적용하지 않을 것이다"고 밝혔다.

 

Skou "이는 Maersk가 혁신을 모른다는 것이 아니다"고 말하면서, "종종 새로운 선박 디자인으로 업계를 이끌었던 Maersk사는 그 어느때 보다도 디지털화에 투자를 하고 있으며지난달에국경간 거래의 관리 및 추적을 위한 블록 체인 기술의 이용을 개발하기 위하여 Maersk IBM과 합작회사를 구축했다"고 말했다.

(쉬핑데일리 2018.02.20.)

 

9. BIMCO Releases 2018 Shipping Market Outlook

BIMCO has released its Macroeconomics assessment for 2018 based on current trends and events.

 

The worlds largest international shipping association has advised that nations should foster a strengthened global economy by undertaking structural reforms to help unleash growth potential.

 

BIMCO referred to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s (IMF) World Economic Outlook for January 2018, which showed it has revised its forecast for global growth in 2018 and 2019  up by 0.2% to 3.9% for both years.

 

While political events can undermine the development, BIMCO has predicted that 2018 may bring fewer economic growth derailing events compared to 2017.

 

It found that disturbances may come from the US midterm elections in November, negotiations for both NAFTA and Brexit, and the stability of Chinas economy.

BIMCO warned that the political deals resulting from these events need to decrease the number of trade barriers and ensure regulatory alignment to sustain economic growth.

 

This will help to encourage potential growth as restrictive trade measures can discourage trade flows and have negative knock-on effects on economic growth and job creation.

 

The WTO has asked all nations to resist adopting inward-looking policies and urged its members to show leadership by committing to open and mutually beneficial trade.

 

According to the most recent trade monitoring report this has been embraced.

 

In the period from mid-October 2016 to mid-October 2017, 128 measures were implemented to facilitate trade, compared to 108 trade restrictive ones.

 

According to the WTO, world merchandise trade has rebounded strongly as volumes grew by 3.6% in 2017 compared to 1.3% in 2016.

 

However, it is expected that this will drop moderately to 3.2% in 2018 due to a downside risk arising from trade policy measures and geopolitical tensions.

 

BIMCO stated: It has been quite some time since macroeconomic development has looked this positive and as supportive of shipping.

 

When navigating such a strong global economy, it is essential that countries reap the opportunities this window provides and undertake critical reforms.

 

With global long-term growth projected to rise only moderately in the coming years, it is essential that nations implement structural reforms to unleash any additional growth potential.

 

Improving the economic growth potential through structural reforms supports productivity, and thereby improves the medium and long- term derived demand for the shipping industry.

(Port technology 2018.02.20.)

 

10. PEMA Discusses Industry 4.0

The digitalization of ports and terminal operations in a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as a key topic of conversation at the Port Equipment Manufacturers Association (PEMA) annual general meeting (AGM).

 

Themes at the AGM, held between the January 30 and February 1, 2018, included artificial intelligence, data management, cyber-physical systems, and interoperability between layers of IoT platforms, all key elements of Industry 4.0  the current trend of automation and data exchange in manufacturing technologies.

 

PEMA, which provides a forum and public voice for the global port equipment and technology sectors, has recognized that these are all emerging technologies which will improve container throughput at ports and terminals.

 

Ottonel Popesco, PEMA president, told AGM delegates in the Spanish port city of Bilbao: With the necessary ambition among PEMA members, everybody can be best in class in improving safety, driving efficiency, and reducing environmental impact.

 

One of two opening speakers, José Llorca, Chairman of Puertos del Estado, stressed the importance of digitalization in the ports sector, saying that it was crucial to the quality and efficiency of services, and to align [the sector] with the industrial revolution 4.0.

 

Learn about how Industry 4.0 is going to impact how ports operate in 'Update: Maritime Sector Logistics 4.0' by Dr. Yvo A. Saanen, Commercial Director and Founder of TBA

 

Keynote speakers Lamia Kerdjoudj-Belkaid, secretary general of ports body FEPORT, and Capt. Richard Brough OBE, a technical advisor at ICHCA International, highlighted the broader challenges facing the ports and terminals sector.

 

Macro challenges discussed included regionalization of trade flows, labour market disruption, regulatory changes, data analytics standards, state aid and private investment, the emergence of new business models, competitive collaboration, and sustainability.

 

Speakers and delegates cautioned, however, that inertia in the ports and terminals sector threatened to hinder its development.

 

Hamburg Port, the largest in Germany, was recently encouraged to become a "Port 4.0" for an Industry 4.0 era by the countrys Senator for Economics, Transport and Innovation.

(Port technology 2018.02.20.)

 

첨부파일

to top